컨텐츠 바로가기

10.17 (목)

[원희룡 제주도정 출범]‘탈 권위·현장소통·협치’ 시대 개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제주=뉴시스】강정만 기자 = 원희룡 민선6기 도정이 1일 출범했다. 원희룡 지사는 앞으로 4년 동안 60만 제주도민의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자리에 앉았다.

원 도정의 운영 스타일은 '탈(脫) 권위'와 '현장 소통'이다. 통치방식은 ‘협치(governance)’로 요약된다.

원 지사는 당선인 시절 이미 파격적 행보로 종전의 권위적 도지사의 자리와는 먼 모습을 보여줬다. ‘파격’은 곧 ‘탈 권위’다.

원희룡 지사는 당선 후 도내 170개 마을을 방문하는 '마을 투어'를 통해 이를 도민들에게 보여줬다. 청바지와 단화 또는 운동화 차림에 버스에서 수행원들과의 식사, 투어 중인 마을에서 하룻밤 기숙(寄宿) 등 그의 파격적 행보는 소탈한 면모로 도민들에게 다가왔다.

개인적인 경조사 불참 선언, 도지사 관사 입주 거부, 세월호 침몰이 이유가 됐지만 취임식을 도청 강당에서 취임사를 낭독하는 수준에서 하는 것, 모두 깜짝 놀라만 할 정도의 파격행보다.

‘탈 권위’가 그의 외형적 스타일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현장소통’은 그의 도정운영의 한 방식이다.

원 지사는 지난달 20일 제주시 조천읍 지역을 방문한 자리에서 “출마를 결심하며 세 가지를 결심했다”며 도지사는 높아지는 자리가 아니라 낮아지는 자리며, 스스로 낮춰야만 도민의 소리가 들어온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도청 집무실에 갇혀 있어서는 안 되며 마을과 현장이 제 집무실이라는 생각이고, 현장에서의 많은 시행착오와 경험을 갖고 있는 도민 한분 한분이 스승이어야 한다”고 했다.

임기동안 “현장의 의견을 도정에 적극 반영 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원 지사가 선거기간 동안 강조에 강조를 거듭했던 ‘협치’는 그의 임기동안 제주도정의 정책결정의 ‘수단’이 될 것 같다.

그는 6·4 선거당시 “협치는 주민이 직접 행정에 참여하는 것이다. 분야별 위원회에 도지사의 권한을 위임하겠다”고 했다.

그의 ‘협치’에 대한 이 같은 정의는 도민사회에 수많은 해석과 논란을 이어가고 있지만 그의 실천의지는 확고하다.

원 지사는 6·4 지방선거에서 그와 경쟁했던 신구범 새정치민주연합 후보(전 제주도지사)를 새도정준비위원장으로 영입하고 ‘1000원 버스’ 등 신 위원장의 몇 가지 공약을 자신의 정책으로 구현하고 있다.

나아가 새정치민주연합에는 "정책과 인사를 비롯한 체계적인 협력정치를 구체화하기 위해 당선자와 새정치민주연합과의 실무적인 협의채널을 가동할 것을 제안해 있다.

이것은 정당과의 ‘연정’이지만 ‘협치’의 한 부분으로 해석된다.

새도정준비위원회는 지난달 24일 제주도정의 협치 활성화를 위해 제주도정협치위원회(가칭)를 구성할 것을 원희룡 도정에 건의해 있다.

제주도는 젊고 패기만만하고, SNS로 소통하며, 3선의원의 정치경험이 풍부한, ‘탈 권위적’인 도지사 시대를 맞았다. 그의 등장이 제주도 행정분야를 비롯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와 혁신의 바람 을 예고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원희룡 도정의 앞길은 그렇게 순탄치만은 않다.

제주도는 인구 60만의 섬이라는 지정학적으로 매우 불리한 지역에다 먹고 살 자원이라고는 뛰어난 자연환경 외에는 전혀 없는 곳이다.

여기에다 70년대부터 일기 시작한 개발과 보존을 놓은 낡은 대립방식이 아직도 존재하고 있고, 이것은 강정 해군기지 건설과 외래자본의 유입으로 더욱 심화되고 있다.

원희룡 도정에게는 맨 먼저 이 같은 케케묵은 지역정서를 뛰어 넘어 제주발전의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느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그는 1일 취임사에서 ‘새로운 성장’을 선언하면서도 “무차별적 개발은 제주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일이다”며 “제주의 청정환경을 지키는 일은 개발을 뛰어 넘는 최우선 가치다”라고 못 박았다.

보존에 더 가치를 둔 듯한 이 발언은 향후 제주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자본가 또는 기업의 투자의도를 냉각시킬 수 있는 전망을 낳게 한다.

강정마을 치유 등 '도민통합'과 '협치'의 실현도 만만치 않은 과제다.

원 지사는 취임사에서 "강정마을 문제는 강정마을회가 중심이 돼 해결해야 한다"며 "강정마을회가 중심이 돼 진상조사와 그 이후의 과정을 주도하면 도정이 뒷받침 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진상조사 주체를 제3의 기관이나 단체가 아닌 해군기지 반대단체인 강정마을회로 함으로써 논란을 빚는 등 해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협치’ 또한 정책결정에 어느 정도까지 권한을 가진 제도로 정착할 것인지, 원 도정 초기 과제 중의 과제로 등장했다.

kjm@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