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7 (목)

이중적 민심…"진보교육감 환영·전교조 판결 적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갤럽, 시민 천명 설문조사…45% "진보교육감 당선 잘된 일"

(서울=뉴스1) 안준영 기자 =

뉴스1

조퇴 투쟁에 나선 전교조 서울지부 소속 회원들이 2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대국민 선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성인 10명 중 4명은 6·4 지방선거에서 진보교육감들이 대거 당선된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진보교육감과 맥이 닿아있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대한 법외노조 판결에 대해서도 적절하다는 평가를 내리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론조사기관인 한국갤럽조사연구소는 지난 24~26일 성인 10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5%가 진보 성향 교육감 동반 당선을 '잘된 일'이라고 답했다고 27일 밝혔다.

'잘못된 일'이라는 응답은 23%에 그쳤고 나머지 32%는 의견을 유보했다.

전반적으로 '잘된 일'이라는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2040 세대는 그 비율이 50%를 넘었고, 50대에서도 긍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부정적 견해보다 10%p 가량 많았다.

'잘못된 일'이라는 시각이 두드러진 계층은 60세 이상(39%)과 새누리당 지지자(40%)뿐이었다.

갤럽은 "시·도 교육감 영향권에 포함되는 초·중·고 재학생 학부모는 대개 3040 세대"라며 " 이번에 새롭게 당선된 진보 성향 교육감들에 대한 이들의 기대가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교육감 선출방식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9%가 현 직선제 유지를 선택했다. 다른 방식으로 임명해야 한다는 응답은 31%에 머물렀다.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최근 보수성향의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교육감 직선제가 교육감의 자질 등 인물과 정책 대결 보다는 진영 논리의 낡은 프레임에 기댈 수밖에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며 교육감 직선제 폐지 촉구 활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직선제는 저연령일수록(20대 87%·60세 이상 38%), 임명제는 고연령일수록(20대 11%·60세 이상 46%) 선호도가 높았다. 현재 초·중·고 학부모이거나 앞으로 학부모가 될 2040 세대는 직선제를 더욱 선호했다.

시민들은 진보교육감 당선을 환영하고 교육감 직선제 폐지에도 거부반응을 보였지만 연장선상에 있는 전교조 법외노조 판결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응답자의 39%가 이번 판결에 대해 '적절하다'고 답했다. '적절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30%였고 나머지 31%는 의견을 유보했다.

전교조 법외노조 판결을 '적절하다'고 본 응답자는 남자(43%)가 여자(34%)보다 많았다.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우세한 그룹은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47%)와 40대(42%), 현재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42%) 등이었다.

특히 학부모들의 경우 이번 판결에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았다. 208명 중 '적절하지 못하다'는 응답은 42%, '적절하다'는 응답은 37%였다.

전교조에 대해선 전체의 48%가 '좋지 않다'고 답했으며 '좋다'는 의견은 19%에 불과했다. 의견을 유보한 응답률은 34%에 달했다.

대체로 '좋지 않다'는 응답이 많은 가운데 새누리당 지지자(69%)와 50대(60%), 대구·경북지역(58%)에서 부정적 시각이 강하게 나타났다.

전교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그룹은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35%)와 40대(32%), 현재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33%)였다.

전교조를 좋게 보는 이유로는 ▲참교육·전인교육(22%) ▲교육계의 변화 및 비리 척결(21%) ▲교사 인권(17%) ▲진보 이념에 공감(14%) 등을 꼽았다.

반면 전교조를 좋지 않게 보는 이유로는 '이익만 주장'(23%)을 가장 많이 지적해 교사가 노동조합 활동을 하는 것 자체에 대한 반감이 적지 않았다.

이어 ▲너무 진보적(15%) ▲교육상 안 좋다(11%) ▲법을 안 지킨다(10%) 등이 제시됐다.

이번 설문조사는 95% 신뢰수준으로 오차는 ±3.1%p이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