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7 (목)

전국지하철 CEO도 官피아가 장악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세월호 침몰 사고 원인 중 하나로 '관피아'와 업계 유착이 손꼽히는 가운데 광역시 지하철 최고위직도 관피아들이 모두 장악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은 '낙하산'을 문제 삼는 노조 비위를 맞추기 위해 복지 지출은 늘리고 안전 관련 지출은 줄여 사고 위험을 키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매일경제가 8일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광역시 지하철 조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3년 지하철 화재로 192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구도시철도공사는 지금까지 10명의 사장 모두 대구시 공무원들이 차지했다.

초대 신태수 사장을 시작으로 2ㆍ6ㆍ7대 사장은 대구시 기획관리실장을 한 뒤 옮겨왔다. 3ㆍ8ㆍ9대 사장은 부구청장 출신이고, 4ㆍ5대 사장은 시 간부 출신이다.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지난 2월 사퇴한 류한국 사장 후임인 홍승활 현 사장(59)도 대구시 안전행정국장 출신이다.

부산지하철도 마찬가지다. 2006년 부산교통공단 시대를 마감하고 부산시 산하 부산교통공사로 전환한 뒤 사장 자리는 모두 부산시 퇴직 관료들이 차지했다. 초대 김구현 사장과 2대 안준태 사장은 취임 전 행정부시장이었다. 이어 2012년 배태수 전 부산시의회 사무처장이 취임해 현재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들이 임명될 때마다 부산지하철 노조와 시민단체들이 '낙하산 인사'라며 임명을 반대했지만 결정이 바뀐 적은 없었다.

부산지하철 노조 관계자는 "전문성 없는 관료들이 오다 보니 2012년 전동차 짝퉁 부품 구입 등에서 드러난 것처럼 제대로 된 감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지하철에 대한 시민 불안을 가중시켰고 교통공사 이미지를 실추시켰다"고 말했다.

이번에 2호선 추돌 사고를 일으킨 서울메트로의 장정우 사장도 서울시 관료 출신이다. 장 사장은 시 도시교통본부장, 시의회 사무처장 등을 지내다 작년 2월 사장에 취임했다.

서울메트로 역대 사장 15명 가운데 10명이 시 관료 출신이다. 수도권 지하철 5~8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도 시 도시교통본부장 출신 김기춘 사장이 2011년 취임해 경영을 맡고 있다.

'관피아'는 지방 지하철 사장뿐만 아니라 주요 직위를 관행처럼 차지하고 있다.

대전은 지하철 관련 주요 공기업 임원 자리를 대전시와 충남도 관료들이 독식하고 있다. 대전도시철도공사의 박상덕 사장은 행정부시장, 황재하 경영이사는 시 상수도사업본부장, 김기원 기술이사는 시 공보관 출신이다. 대동역과 중구청역을 비롯해 9개 역장도 시 퇴직 관료들이 차지했다. 대구지하철은 더 노골적이다. 민간 위탁 형태로 운영 중인 역사 16곳 가운데 15곳 역장을 모두 대구시와 도시철도공사 출신 퇴직 공무원이 차지한 것. 공무원들이 자리를 차지했지만 방만경영은 계속됐다. 대구도시철도공사는 2012년 한 해 849억원 적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말 임직원들에게 성과급 121억원을 지급해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광주시청 국장과 시의회 사무처장을 역임한 이호준 사장이 이끌고 있는 광주도시철도공사도 사정은 비슷하다. 공사는 전체 17명 역장 가운데 14명을 민간 공모 형식으로 뽑았는데 절반 가까운 6명이 시청 공무원 출신이다. 관피아가 점령한 7개 도시 지하철 가운데 2010년부터 올해 5월까지 가장 많은 사고와 운행장애가 발생한 곳은 부산교통공사였다.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부산지하철은 이 기간 51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며 운행장애도 15건이나 있었다.

이번에 2호선 추돌사고가 발생한 서울메트로가 철도사고와 운행장애가 각각 25건, 9건 발생해 뒤를 이었다. 대전지하철은 운행장애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고 철도사고도 2건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박만원 기자 / 서동철 기자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