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5 (토)

"무인기 항속거리 300㎞ 이하… 북한 소행 확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국방부 중간조사 결과

北서 이륙 결정적 증거인 임무명령 데이터 해독엔 최소 2주~1개월 걸릴 듯

한국일보

국방부가 11일 대전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최근 발견된 3대의 소형 무인기에 대한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공개한 무인기. 백령도에서 추락한 무인기는 바로 옆의 일본제 니콘 카메라를 탑재한 상태로 119장의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사진공동취재단


국방부는 11일 "최근 발견된 3대의 소형 무인기는 북한의 소행이 확실하다"고 밝혔다. 다만 정황 증거 외에 북쪽으로 예상되는 이륙ㆍ복귀지점의 위성항법장치(GPS) 좌표 등 결정적 증거(스모킹 건)를 확보하는 데는 최소 2주 이상 걸릴 것으로 보여 추가 조사결과가 주목된다.

국방부는 이날 중앙합동조사단의 중간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여러 가지 정황을 근거로 제시했다. ▦파주와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기가 군사시설이 밀집한 지역의 상공을 이동하면서 촬영했고 ▦무인기의 항속거리가 180~300㎞로 분석돼 중국, 일본 등 주변국에서 발진하기는 불가능하며 ▦무인기 동체의 위장 도색 색깔과 패턴이 2012년 김일성 생일 열병식과 2013년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군부대 방문 보도 사진에 나타난 무인기와 매우 유사하고 ▦파주와 백령도의 무인기에서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지문이 각각 6점 발견됐다는 것이다.

김민석 대변인은 "국내 민간에서는 파주, 백령도 무인기와 같은 고가의 금형 틀이나 전자회로 기판을 나무 패널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우리 군의 무인기와도 전혀 다른 형태"라며 "무인기를 이륙시키는 데 발사대와 발사장비가 필요하지만 파주와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에서 이를 목격했다는 신고는 없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그러나 북한에서 무인기를 띄운 발진지역과 무인기의 복귀좌표가 입력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임무명령 데이터'는 해독하지 못했다. 사전 입력된 GPS 정보를 이용해 우리측 영공으로 침투했던 무인기의 임무수행 정보가 담겨있는 중앙처리장치(CPU)의 메모리를 분석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군 당국은 한미 양국의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한 과학조사전담팀을 꾸려 추가 분석에 나섰다. 김종성 국방과학연구소 무인기 체계개발단장은 "파주와 삼척 무인기의 CPU 메모리는 삼성 제품, 백령도 무인기는 중국산 메모리를 사용했다"며 "중국제 메모리의 경우 한번도 접해보지 못한 것이어서 최근 매뉴얼을 입수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CPU 메모리를 분석하는데 최소 2주에서 1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조사 결과 3대의 무인기에는 대부분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체코 스위스 등 6개국의 상용부품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전략물자가 아니어서 수입에 제한이 없는 품목이다. 반면 북한이 자체 제작한 부품은 칩을 꽂은 나무 소재의 보드(기판)에 불과했다.

또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기에는 저출력 아날로그 동영상 송신기가 장착된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송신거리가 수㎞로 짧아 남측에서 찍은 사진을 북으로 보내기에 불가능하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이 송신기 칩의 모델명과 일련번호가 의도적으로 훼손돼 있었다. 앞서 경기 파주(3월 24일)와 백령도(3월 31일) 강원 삼척(4월 6일)에서 잇따라 무인기가 발견돼 군 당국은 조사를 벌여왔고 이날 오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분석 중인 무인기 3대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