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 모니터링 결과…과거부터 철도 진동 영향 지적
정비계획 수립 예정…국보·보물 26건 중 '수리' 1건·'주의 관찰' 22건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1천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한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의 상태가 심각하다는 진단 결과가 나왔다.
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올해 2월 열린 문화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중점 관리 대상 문화유산 모니터링 결과를 보고했다.
국보 14건, 보물 12건 등 26건을 점검한 결과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E등급을 받았다. 나머지 22건은 C등급, 3건은 현재 조치가 진행 중인 유산으로 분류됐다.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전경 |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탑이다.
법흥사지 칠층전탑의 지붕에는 기와를 얹었던 흔적이 있다. 학계는 이것이 목탑을 모방해 전탑이 만들어졌다는 점을 입증해 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세부 모습 |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오래전부터 구조 안전 문제를 지적받아 왔다.
연구원의 '2023년 중점 관리 대상 문화유산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철도 운행에 따른 진동 문제는 여러 차례 거론된 바 있다.
연구원은 2013년 조사에서는 "철도 진동에 의한 훼손 및 분진·철가루 등에 의한 표면 오염이 우려"된다는 의견을 냈고, 2015년에는 "전반적으로 (탑이) 기울어져 보이며 철도 진동이 탑에 영향을 미침"이라고 진단했다.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세부 모습 |
2021년 결국 철길이 철거됐으나, 상태는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어 "전돌 일부 균열 및 파손, 생물 피해 등의 손상이 관찰돼 보존 처리가 필요하다"며 "올해 종합 정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달 중 유관부서와 각 지방자치단체에 결과를 알린 뒤, 6월께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
연구원은 올해 국보 13건, 보물 11건 등 24건의 문화유산을 중점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연구원은 2015년부터 국보, 보물 등 주요 문화유산을 점검하고 있다.
매년 중점 관리 대상 20∼30건을 정해 구조 안전, 보존과학, 생물 피해 상황을 확인한 뒤 A(양호)·B(경미 보수)·C(주의 관찰)·D(정밀진단)·E(수리)·F(즉시 조치) 등급으로 평가한다.
2024년도 중점 관리 대상 문화유산 모니터링 목록 및 결과 |
yes@yna.co.kr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