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지수, 올해 1월 98.4까지 떨어져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전 대통령 임기 중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가 취임 초반 고점을 찍은 뒤 계속해서 곤두박질쳤다. 특히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가파르게 하락하며 임기 중 최저치를 찍었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올해 1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4로 전달보다 0.4포인트(p) 하락했다. 윤 전 대통령이 취임한 2022년 5월 이후 가장 낮다.
올해 2월 0.1p 반등하긴 했다. 그러나 앞서 석 달 연속 내림세가 이어졌고 반등 폭도 작아 상승세 전환 흐름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동행지수 지표상 경기 하향 국면이 계속되고 있다는 의미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현재의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경기지수다. 광공업·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내수출하지수 등 7개 지표로 구성된다.
당시 경기동행지수가 내림세로 전환한 주된 이유는 반도체 불황이다. 윤 정부 취임 직전인 2022년 4월부터 광공업 생산지수(동행지표 구성지표)의 내림세가 시작했다. 이 추세는 이듬해 2월까지 11개월 연속 이어졌다.
지난해 상반기부터는 건설업 불황까지 더해졌다. 건설 기성액(동행지수 구성지표)은 지난해 4월 4.1% 감소한 이후 지난 2월까지 11개월 연속 줄면서 동행지수를 끌어 내렸다.
경기지수 내림세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전후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동행지수는 99를 웃돌았으나 석 달 연속, 총 0.9p 급락해 올해 1월(98.4)에는 약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주저앉았다.
정부 관계자는 "동행지수는 2022년 9월을 정점으로 최근까지 계속 하향하는 추세"라며 "2월 소폭 반등했지만, 앞으로 추세를 더 봐야 한다"고 말했다.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