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치적 양극화 현상…여론조사서 뚜렷
“75%는 물가상승 우려”
미국 뉴욕의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는 모습.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일 자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6일 동안 미국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의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응답자의 54%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에는 관세정책을 지지한다는 응답(48%)이 반대(46%)보다 많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지지 응답이 42%로 감소했다고 WSJ는 밝혔다.
응답자의 4분의 3은 트럼프의 수입 관세 폭탄 이후로 장바구니 물가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우려했다. 최근에 소비자들 사이에 식품과 일반 생필품의 사재기 열풍까지 일어나고 있는 현상도 그런 우려가 반영된 것이다.
대선 직전인 지난 해 10월에는 트럼프의 경제정책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40%로 찬성한다는 응답(50%)보다 적었지만, 지금은 찬반이 역전되었다.
전체 유권자 기준으로는 46%가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전인 1월과 비슷한 지지도를 유지했다.
민주당 여론조사 전문가 존 앤젤런은 “미국 유권자들은 대통령 취임 초기에는 어느 정도 유예기간을 주는 성향이 있다”고 말하며 집권 초기의 ‘허니문 현상’으로 해석했다.
미국의 정치적 양극화 현상은 이번 여론조사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됐다. 현재 미국 경제가 악화하고 있다는 답변은 52%로 지난 1월 여론조사(37%)에 비해 크게 늘었지만, 응답자의 41%는 미국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42%는 비대해진 연방정부의 축소를 지지했지만, 37%는 정부 예산 삭감을 위해 트럼프 행정부가 이를 추진하는 방식에는 반대한다고 답했다.
특히 54%는 정부 예산 삭감으로 수많은 공무원들의 해고는 물론, 납세자에 대한 각종 혜택과 정부 서비스도 사라지는 것을 우려했다.
불법 체류 외국인 구금 및 추방에는 53%가 찬성했다. 그러나 이들을 반드시 추방해야 하는 건 아니라는 의견도 많았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