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헌재 주변 긴장감, 경찰 6600명 투입...대통령 관저도 경계 강화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둔 4일 아침 경찰 기동대원들이 보호장구를 챙기고 있다. 정보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둔 4일 아침, 경찰 버스와 대규모 경찰 경력으로 둘러싸인 헌법재판소 주변에는 긴장이 감돌았다. 전날 오후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으로 집회 장소를 변경하면서, 경찰도 관저 앞 등의 비상경계 태세를 한층 강화했다.



이날 헌법재판소와 광화문 등 도심 일대는 경찰 기동대 110개부대(약 6600여명)와 곳곳에 둘러쳐진 차벽으로 삼엄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헌재 반경 150m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경찰 버스와 차벽용 차량 등 200여대가 길게, 겹겹이 늘어섰다. 이날 아침 기준 ‘진공 상태’ 구간에는 헌재 관계자, 경찰, 취재진을 제외하고는 이동할 수 없는 상태다.



차벽 주변 곳곳엔 경찰의 보호장구를 담은 가방들이 한데 놓였다. 안국역 주변에는 완전진압복으로 무장한 경찰들이 5~6명씩 조를 이뤄 곳곳을 분주하게 움직였고, 헌재 바로 앞에는 충돌 사태가 빚어지기 전 분위기를 자제하는 ‘대화 경찰’들도 대기했다. 헌재 주변 율곡로, 사직로, 삼일대로, 세종대로 등은 대부분 통제됐다.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은 전날 오후 4시부터 무정차 통과했다.



헌재에서 약 250여미터 떨어진 안국역 6번 출구 앞에선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이 연 철야집회에 참여한 시민 500여명이 은박 담요를 덮고 탄핵선고일 아침을 맞았다. 서로의 무릎에 누워 쪽잠을 자는 시민도, 빵과 커피를 나누어 먹는 시민들도 있었다. ‘민주주의 네버다이’ ‘역사적 현장에 그만 있고 싶음’ 등의 손팻말들 사이로 하모니카, 트럼펫, 플루트를 부르며 장애 인권을 이야기하는 노래 ‘열차 타는 사람들’을 따라부르는 이들도 있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둔 4일 철야농성을 벌인 시민들이 아침을 맞고 있다. 정봉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초 이날 안국역 5번 출구와 시청~광화문 광장에서 집회를 열기로 한 자유통일당 등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전날 오후 예고한대로 집회 장소를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으로 이동했다. 안국역 앞 집회 무대는 철거됐고, 윤 대통령 지지자와 유튜버 30여명 정도만 남아 “오늘 기각 안되면 어떡하나” “젊은이들이 나라 살려야 돼” 등 한탄 섞인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다만 안국역 주변으로 검정 방호복에 헬멧을 차려 입은 5~6명 정도의 청년들이 무리를 지어 움직이는 모습도 포착됐다.



윤대통령 지지자들의 집회장소가 변경되며 경찰도 관저 앞 경계를 강화했다. 이날 아침 관저 앞에는 경찰 기동대 30개 부대(1800여명)가 배치된 상태다. 관저 주변 한강진역도 이날 오전 9시부터 지하철 6호선이 무정차 통과한다.



경찰은 아울러 선고 이후 흥분한 이들이 국회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국회 앞에도 기동대 20개 부대(1200여명)를 배치했다. 그밖에 대사관이나 법원 등 주요 기관들을 보호하는 시설경비를 위해 47개 기동대(3천여명)가 서울 곳곳에 배치됐다.



정봉비 기자 bee@hani.co.kr 김가윤 기자 gayoon@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