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사진은 지난달 30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2025.03.30. kmn@newsis.com /사진=김명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싼 노원·성북·은평구의 지난달 아파트 거래량 상승세가 가파르다. 은행 대출금리가 낮아지는 상황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로 촉발된 매수세가 강남권에서 서울 전역으로 옮겨붙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1일 서울부동산 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노원·동작·성북·양천·영등포·은평구의 지난 3월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2월 거래량을 뛰어넘었다. 이달 말까지 매매 신고 기간이 남았는데 벌써 전월보다 많은 거래가 집계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날 기준 노원구의 거래량은 364건으로 전월보다 8건 많았다. 성북구의 거래량은 277건으로 전월보다 45건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작구의 거래량은 35건 증가한 326건이었다. 동작구의 경우 이 추세라면 최근 거래량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7월(467건)보다 많은 거래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크다.
반면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의 3월 거래량은 아직 전월 거래량 수준을 넘지 못했다. 이날 기준 강남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386건인데 전월 거래량은 566건이었다. 서초구의 지난 2월 거래량은 408건인데 3월의 경우 아직 70건밖에 되지 않는다. 송파구 역시 2월 거래량이 620건인데 3월 거래량은 184건으로 아직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 상황이다.
지난 3월 거래된 아파트의 신고 기간이 끝나는 이달 말엔 강남 3구의 아파트 거래량도 확 늘어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서울시와 정부가 지난달 19일 토허제 확대 지정을 밝히며 시행일인 지난달 24일까지 5일 동안만 해당 지역에서 갭투자가 가능했었는데, 당시 막판 매수·매도자들이 모여 대량의 거래가 체결됐다고 전해지기 때문이다. 송파구 잠실 부동산 공인중개사들 사이에선 토허제 시행 직전 며칠 간의 거래량이 보통 한 달치 수준으로 많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용안 기자 ki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