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트럼프, 北에 '핵 국가' 발언…"속내는 정반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은, 영리한 사람"...또 친분 과시
대화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는 분석도
"북한 띄워 협상...핵 인정 결코 안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북한을 '매우 큰 핵 국가'(big nuclear nation)라고 지칭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이 북한을 핵 협상 테이블로 끌어오려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이동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와 협상을 다시금 강조한 가운데 북한을 '핵 국가'(nuclear nation)라 부르며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취임식 당일부터 계속된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핵 언급은 핵을 인정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김 위원장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오려는 의도로 보인다. 다만 북핵을 결코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김 위원장에게 언제 연락할 계획이냐, 가까운 미래인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다"며 나는 김 위원장과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소통이 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그(김 위원장)는 '매우 큰 핵 국가'(big nuclear nation)고 매우 영리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북한의 핵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그는 지난 1월 20일 취임식 당일 북한 관련 질문에 "김 위원장은 이제 핵 능력(nulcear power)을 가졌다"고 언급했다.

지난달 13일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의 회동에서는 김 위원장과의 관계를 다시 구축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에 "그렇다. 나는 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맺었다"며 "그가 '핵 파워'(nuclear power)인 것은 분명하다"고 말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오히려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19년 6월 30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측에서 김 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북핵 능력 발언은 북한을 회유, 핵 협상 테이블에 앉히려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것과 동시에 그는 북한을 결코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제시된다.

박원곤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는 <더팩트>와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매우 큰 핵 국가'라고 했더라도 합법적인 핵보유국으로 인정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평범한 미국 사람들이 북한을 지칭할 때 그런 식으로 표현하는 것일 뿐"이라고 평가했다.

조윤영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들은 굉장히 대중적"이라며 "북한의 핵 능력을 인정해 주는 듯한 발언을 하며 협상 분위기를 이끌어 가고 있는데 막상 테이블에 앉으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해 줄 생각은 전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빅 뉴클리어 네이션'은 실제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의 '핵무기 국가'(nuclear weapon state)와는 다른 의미가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박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NPT 체제상 '핵무기 국가'라고 지칭하지 않고 있다"며 "과거 미 국방장관 청문회에서도 핵 파워라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최근 미일 정상회담이나 한미일 외교장관회의 등 공식 문서상으로는 명백히 북한의 비핵화라는 표현을 명확히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반면 미국이 북한의 핵을 실질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미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아닌 '핵 군축'을 목표로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김흥규 아주대학교 미중정책연구소 소장은 "북한이 NPT 체제상 합법적인 '핵무기 국가'는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핵을 보유한 국가라는 의미의 발언일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 관련 주요 인사들은 북한이 현실적으로 핵을 보유했으며 이에 기반해 협상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koifla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