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 둔화 뚜렷…반면 K-푸드 해외 성장세 지속, 10년새 매년 9% 성장
다만 아시아 비중 57% 쏠려…"유럽·중동·중남미 신시장 개척"
서울 마포구 CU 홍대상상점 라면 라이브러리에 외국인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뉴스1 ⓒ News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식음료 업계가 국내 소비시장 둔화에 대응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아시아 중심이던 해외 진출 전략에서 벗어나 세계 시장으로 활동 무대를 넓히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지난주 '슈퍼 주총위크' 당시 식음료 기업들 대표들은 한목소리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외쳤다. 강신호 CJ제일제당(097950) 대표는 25일 주총에서 "빠른 실행력으로 K-푸드 성장성을 증명해 글로벌 톱 티어 그룹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찬 삼양식품(003230) 대표이사 부사장도 26일 주총에서 "글로벌 네트워크 및 생산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인규 하이트진로(000080) 대표는 21일 "소주의 세계화를 넘어 진로의 대중화 전략을 실현하고 해외 매출 확대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식음료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 주목하는 이유는 국내 소비시장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소매 판매 시장 성장률은 2023년 2.5%에서 2024년에는 -0.1%로 정체 상태다. 더욱이 2021년 이후 지속되는 국내 인구 감소 전망으로 시장 축소가 뚜렷해지고 있다.
반면 K-푸드의 해외 시장 성장세는 가파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의뢰해 분석한 '10년간 K-푸드 수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K-푸드 수출액은 2015년 35억1000만 달러에서 2024년 70억2000만 달러로 70.2% 성장했고, 연평균으로 보면 매년 8%씩 커졌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푸드 수출 아시아 비중 57%…"중동·남미·유럽 진출"
실제로 주총에서도 상당수 식품 기업들은 미국 및 유럽 등의 서구 시장 외에도 인도·중동 등 서아시아, 중남미 등 신시장 개척에 목소리를 높였다.
주영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에도 음식료를 포함한 소비재 기업들은 해외 사업 진출에 공을 들였으나 대부분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권 국가 공략에 그쳤다"며 "최근에는 서구권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신규 수요 창출에 나서고 있다"고 분석했다.
hji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