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00억 인수 대금 절반 담당···금융 시너지 기대
2000억 투자하는 웅진···고객 관리 역량 활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웅진(016880)그룹이 인수를 추진 중인 상조업계 1위 프리드라이프에 실제로는 DB금융그룹이 가장 많은 투자금을 지원하며 우군으로 떠오르자 배경이 주목 받고 있다. 방문 판매를 무기로 한 웅진과 상조 회사의 자금력을 통한 시너지를 기대하는 DB금융이 각각 그리는 그림이 다르기 때문이다.
3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웅진그룹은 프리드라이프 인수를 위해 자금 조달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사모펀드(PEF) VIG파트너스는 프리드라이프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웅진을 선정했다. 지분 100% 매각가는 약 9000억 원이다.
전체 인수대금의 절반을 DB금융그룹이 책임지는 셈이다. 한때 유진프라이빗에쿼티(PE)가 재무적투자자로 협상을 진행했지만 DB금융그룹이 등장하면서 완전히 물러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 주선은 DB증권이 맡고, DB손해보험(005830)이 대출성 자금에 투자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웅진그룹은 지주사인 웅진의 현금성 자산이 490억 원에 불과하고, 부채 비율은 2022년 383.9%에서 2024년 414.0%로 상승하는 등 자체 여력이 높지 않다. 주력 계열사인 웅진씽크빅(095720) 역시 현금성 자산은 393억 원에 불과하지만, 부채 비율이 124.4%로 상대적으로 낮아 신용 보강 등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DB금융그룹이 프리드라이프의 고객 네트워크와 선수금을 활용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프리드라이프는 업계에서 가장 큰 2조원 규모의 선수금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를 직접 투자하지 않더라도 계열사에 금전소비대차로 빌려주는 형태는 가능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상조회사 투자에 관심이 몰리는 이유는 노령화로 인해 수요가 안정적인 점 이외에도 선수금 활용에 관심을 갖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DB증권은 관계자는 "DB증권은 금융주관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별도로 프리드라이프에 지분취득 등 투자를 검토하고 있지 않아 추후 회사 경영에 관여할 의사가 없다"고 말했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