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루 여 "韓, 인·태서 더 큰 역할 준비"
31일(현지시간) 브루킹스연구소의 앤드루 여 한국 석좌는 한나 포어먼과 함께 홈페이지에 게재한 '대만해협 비상 상황에 한국은 자신의 역할을 정의할 준비가 됐는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대만 해군 군함.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 동안 대만 문제에 대해 어떻게 관여할지 아직은 불명확하다"면서도 "트럼프 행정부 내 대(對)중국 강경파는 동맹국에 대만의 방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도록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시나리오에서 미국은 대만해협에서 비상사태 발생 시 한국이 익숙한 영역(comfort zone)에서 나와 한미동맹에 보다 명확성을 제공하고 강력한 지지를 약속하도록 밀어붙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정부는 인도·태평양을 우선시한다고 공언했다"며 "한국도 대만해협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더 큰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만 해협에서의 충돌이 미군과 한미동맹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대만에서의 전쟁이 한반도에서의 분쟁 리스크를 더 높이는 만큼 한미는 비공식적인 투 트랙 대화를 넘어 대만 문제에 대한 공조를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전략적 유연성 문제와 관련, 한미 간 공식적인 입장이 2006년 이후 업데이트가 없다며 "한미동맹의 역할과 책임이 더 넓은 인도·태평양을 대상으로 확대됐음에도 주한 미군이 실제로 어떻게 배치될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한국의 군사적 기여에 대해서는 정보 공유를 포함한 후방 지원부터 미군에 대한 물류 지원, 미군에 대한 무기 제공 등의 방안까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제시했다.
이 외에도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이른바 '패싱(건너뜀)'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거나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등 한국의 안보 이익을 훼손한다면 중국 및 대만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입장을 한국이 지지할 의향이 약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