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9% 그쳐… 순위 7계단 하락
대표 복지국 덴마크·노르웨이 40%대
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국회 예산정책처를 통해 집계한 OECD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조세부담률은 19.0%로 집계됐다. 이는 37개 회원국(데이터가 없는 호주 제외) 중 31위에 해당한다.
조세부담률은 한 나라의 국민과 기업이 부담하는 세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사회보장기여금을 제외한 총조세 비중을 뜻한다. 조세부담률이 낮다는 건 국민과 기업이 낸 세금이 적다는 뜻이다.
한국의 조세부담률은 2022년 초과 세수 영향으로 22.1%까지 올라갔다가 2023년에는 전년보다 3.1%포인트 급감했다. 기업 경기 악화로 법인세 수입이 대폭 줄어든 영향이다. 이에 따라 OECD 회원국에서 한국 순위도 이 기간 24위에서 31위로 낮아졌다.
조세부담률 하락 추세에도 근로소득세 부담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명목 GDP 대비 국세 비중을 세목별로 살펴보면 법인세 비중은 2022년 4.5%까지 확대됐다가 2023년 3.3%, 지난해 2.5%로 떨어졌다. 이에 비해 근로소득세 비중은 2022년과 2023년 2.5%, 지난해 2.4%를 기록하며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