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축구장 2600개 면적을 태우고 열흘만에 진화된 경남 산청 산불 현장에선 현재 잔불 정리가 한창입니다.
마지막 불씨까지 철저히 단속해 재발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선데요.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하준 기자!
[기자]
네, 경남 산청 산불지휘본부 인근에 나와있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구곡산이 산불이 처음 시작됐던 곳인데요.
주불 진화가 한창일때와 비교하면 다소 차분해진 분위기지만 일선 현장은 아직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주불 진화가 완료되면서 산불관리는 지자체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잔불 정리와 재발화 감시 업무를 이어받은 건데요.
잔불 정리를 위해 헬기 40대, 산불진화차 79대, 인력 350명이 투입됐습니다.
또 24시간 상황실과 열화상 드론 등 재발화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도 이어나갑니다.
잔불 정리는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경남도는 산청과 하동 등 산불 피해 주민들 1만여 명에게 1인당 30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또, 이재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임시조립주택을 제공하고 심리 상담 등을 병행할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경남 산청에서 연합뉴스TV 하준입니다.
(현장연결 김완기)
#산청 #하동 #지리산 #산불 #주불 #잔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하준(hajun@yna.co.kr)
축구장 2600개 면적을 태우고 열흘만에 진화된 경남 산청 산불 현장에선 현재 잔불 정리가 한창입니다.
마지막 불씨까지 철저히 단속해 재발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선데요.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하준 기자!
[기자]
제 뒤로 보이는 구곡산이 산불이 처음 시작됐던 곳인데요.
주불 진화가 한창일때와 비교하면 다소 차분해진 분위기지만 일선 현장은 아직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주불 진화가 완료되면서 산불관리는 지자체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잔불 정리를 위해 헬기 40대, 산불진화차 79대, 인력 350명이 투입됐습니다.
또 24시간 상황실과 열화상 드론 등 재발화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도 이어나갑니다.
잔불 정리는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이재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임시조립주택을 제공하고 심리 상담 등을 병행할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경남 산청에서 연합뉴스TV 하준입니다.
(현장연결 김완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하준(hajun@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