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조 흑자' 對中 온라인 무역수지, 5년 만에 3.8조 적자
작년 전체 수지 6.2조 적자…"시장 잠식 선제 대응해야"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최근 중국으로부터 해외직접구매(해외직구)가 증가하면서 지난해 한국의 온라인쇼핑 무역수지가 막대한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국내 유통시장 주도권이 중국에 넘어가 국가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온라인쇼핑의 해외 판매액은 1조 7220억 원, 해외 온라인쇼핑의 국내 구매액은 7조 958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한국의 온라인쇼핑 무역수지는 6조 2358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019년 2.3조 흑자→2024년 6.2조 적자…원인은 中 해외직구
한국의 온라인쇼핑 무역수지는 갈수록 적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2019년 2조 3686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2021년 8490억 원으로 적자 전환한 이후 2022년 4조 890억 원, 2023년 4조 9850억 원, 2024년 6조 2358억 원 등 매년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
같은 기간 미국 해외직구 금액이 1조 7686억 원에서 1조 6873억 원으로 4.6% 감소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큰 변화다. 이에 따라 대(對)중국 온라인쇼핑 무역수지도 2019년 4조 5222억 원 흑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3조 7996억 원의 적자를 냈다.
데이터 분석 기업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쇼핑앱별 월 평균 사용자 수는 △쿠팡 2908만(1위) △11번가 892만(2위) △G마켓 634만(3위) △알리익스프레스 486만(4위) △테무 210만(9위)였지만, 지난 1월에는 △쿠팡 3303만(1위) △알리익스프레스 912만(2위) △테무 823만(3위) △11번가 781만(4위) △G마켓 543만(5위) 등으로 2년 만에 크게 변동됐다.
특히 최근 미국 정부가 800달러인 소액면세 기준을 폐지하기로 하면서 미국 수출이 막힌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한국 공략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저렴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수요는 유지되고 있기에, 중국 업체들이 미국 소비자에 대한 우회 수출 통로로 한국을 활용할 것이란 얘기다.
한국서 존재감 키우는 C커머스…영세사업자·대기업 모두 생존 위기
이에 국내 영세사업자들도 생존 위기에 처해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통신판매업체는 총 9만 4850개로 집계됐다. 이전 최고치였던 2023년(7만8580개)보다 1년 만에 21% 많아진 수치다. C커머스의 물량공세에 국내 대기업 산하 e커머스 업체들도 매출에 타격을 입고 있다.
유통업계에선 C커머스의 국내 온라인 시장 잠식과 미국에 대한 우회 수출 등의 위험 요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관련 제도를 정비해 국내 소비자와 플랫폼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고, 중국의 우회 수출과 투자로 인한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글로벌 소비 트렌드는 낮은 가격뿐만 아니라 품질 및 브랜드에도 가치를 부여하는 만큼, 국제 기준 준수 및 높은 기업 투명성 등을 통해 중국 업체와 차별화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또 중국 업체들의 미국 수출이 제한될 것인 만큼, 국내 e커머스 업체들이 미국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의 대체자가 될 수 있는 영역을 선점하는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themo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