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1억700만원
근속연수 1위는 유한양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임직원 평균 급여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등기임원 7명을 제외한 재직자 4792명을 대상으로 1인당 평균 1억 700만원을 지급했다. 이는 전년 대비 8% 증가한 수치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직원 평균 연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9년 7500만원 ▲2020년 8300만원 ▲2021년 7900만원 ▲2022년 9200만원 ▲2023년 9900만원이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평균 연봉이 감소했지만, 당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개발생산(CDMO) 수주를 꾸준히 확대하며 신규 채용을 늘렸다.
이외에도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지난해 직원 1인당 평균 급여는 ▲셀트리온 1억 300만원 ▲유한양행 9700만원 ▲종근당 8100만원 ▲한미약품 7900만원 ▲보령 7400만원 ▲GC녹십자 7300만원 ▲대웅제약 69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임원 급여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위를 차지했다. 이사·감사 7명의 평균 급여는 1인당 19억 300만원으로, 전년보다 45% 증가했다. 2위는 셀트리온이었다. 이사·감사 12명의 평균 급여는 9억 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51.4% 상승한 수치다. 인상률 기준으로는 셀트리온이 가장 높다.
인천 송도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외에도 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지난해 임원 평균 급여는 ▲보령 3억 8900만원 ▲GC녹십자 3억 5400만원 ▲유한양행 3억 2900만원 ▲대웅제약 2억 2300만원 ▲종근당 2억 500만원 ▲한미약품 1억 9300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급여가 오른 기업은 ▲한미약품(16.3%) ▲유한양행(15%) ▲종근당(14.5%)이었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경쟁사의 연구·개발(R&D) 및 영업·마케팅 인력을 영입하려는 경쟁이 특히 치열한 분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임직원 복지를 강화하며 조직 내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분위기다. 2000년대에 설립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은 상대적으로 근속 기간이 짧지만, 다양한 복지 제도를 갖추고 있다. 기숙사 제공은 물론 어린이집·식대 지원·전용 병원 운영 등을 지원한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