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니핑 라면으로 국내 시장 도전
하츄핑 어묵 만드는데 반년 걸려
시생산 6~7번 끝에 무사히 출시
한달 만에 판매 순위 10위 성과
CU만의 스테디 아이템 됐으면
황지선 BGF리테일 가공식품팀장. BGF리테일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진짜 눈물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최근 CU 편의점에서 화제가 된 '티니핑 라면'을 기획한 황지선 BGF리테일 가공식품팀장(사진)은 제품개발 과정을 한마디로 이렇게 전했다. 인터뷰 동안 황 팀장은 말이 빨라지는 모습이 많았는데 그만큼 열정이 전해졌다.
2006년 12월 BGF리테일에 입사한 황 팀장은 즉석조리, 빵, 도시락 등 15년 넘도록 식품 상품기획자(MD)의 한 우물을 팠다. 그는 자신의 일을 '보이지 않는 신기루를 좇고, 또 좇는 것 같다'고 표현했다. 그는 "두바이 초콜릿도 그렇고 한번 이슈가 터져서 불꽃처럼 타오른 상품은 불꽃처럼 꺼진다"며 "그렇다고 불꽃을 포기할 수는 없다. 그로 인해 들어오는 신규 고객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털어놨다.
그러나 하츄핑과 빤짝핑 캐릭터 모양의 어묵을 만드는 데만 6개월이 걸릴 정도로 어려운 작업이었다. 황 팀장은 "처음 찍어낸 어묵에는 캐릭터 얼굴이 울상으로 찌그러지거나 눈이 쫙 찢어진 모양이 나오는 등 시생산만 6~7번 돌렸다"며 "말이 쉽지 시생산은 한번 할 때마다 공장 라인을 멈춰놓고 만들어야 하는 대작업"이라고 말했다. 무수한 시행착오 끝에 나온 티니핑 라면(사발면)은 지난 16일 기준 18만여개가 팔렸으며, 사상 최초로 출시 한 달 만에 라면 판매순위 10위 안에 들었다.
현재 전국 모든 편의점에서 얼음 컵과 소용량의 파우치 음료는 흔히 볼 수 있다. 얼음 컵에 다른 음료를 섞어 나만의 음료를 개발하는 '믹솔로지' 트렌드도 생겼다. 황 팀장은 "세상에 신상품은 없다"며 "상품 용도를 그때그때에 맞춰 다시 포지셔닝하고 재출시하면 반응을 얻게 된다"고 했다.
황 팀장은 이커머스의 공세에도 편의점의 경쟁력은 높다고 진단했다. 그는 "마트, 백화점과 달리 제품 판매단위가 작아서 빠르게 변화할 수 있는 곳"이라며 "온라인 채널이 여전히 외국인이나 미성년층은 공략에 어려움이 있는 만큼 이 방향으로 상품을 늘리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yesyj@fnnews.com 노유정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