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청ㆍ하동 지역을 휩쓴 산불의 주불이 잡힌 지 1시간30분쯤 지난 30일 오후 2시30분쯤 경남 산청군 시천면 중태마을. 산불이 덮친 이 마을에 있던 2층 규모의 가정집 겸 곶감건조장이 무너져 있다. 안대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0일 오후 2시30분쯤 경남 산청군 시천면 중태마을. 1·2층 합쳐 연면적 54평(178㎡) 규모의 건물이 엿가락처럼 구부러져 주저앉아 있었다. 판넬 지붕과 경량 철골로 만들어진 건물은 화마(火魔)를 견디지 못했다. 검게 그을려 탄내가 진동하는 이 건물은 60대 부부가 15년째 살던 일터이자 보금자리였다. 1층엔 가정집, 2층엔 곶감 건조장이 있었다.
곶감 농사와 양봉을 하던 집주인 김모(60대)씨는 “다 타버렸다. 어디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겠다. 막막하다”며 “어떻게 이런 시련을 겪어야 하나”고 답답해했다. “지금 (감나무에) 거름도 주고, 나뭇가지도 자르고 다듬어야 하는데…”라며 말을 잇지 못하던 김씨는 “벌통도 절반이 불탔다”고 혼잣말을 했다.
경남 산청ㆍ하동 지역을 휩쓴 산불의 주불이 잡힌 지 1시간30분쯤 지난 30일 오후 2시30분쯤 경남 산청군 시천면 중태마을. 한 단층 주택 건물이 불길에 지붕이 내려앉고 유리창이 부서져 벽돌 뼈대만 드러내고 있다. 안대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 북부지역을 휩쓴 산불이 진화된 지 이틀이 지난 30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에 위치한 주택이 산불로 불탄 모습. 김정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마당에 있던 외국인 근로자 3명은 감나무에 쓰지 못한 비료 포대를 다른 창고로 옮기기 바빴다. 김씨의 집 뿐 아니라 중태마을은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대피 열흘 만인 이날 하나둘 돌아온 주민들은 허탈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이 마을 손경모(68) 이장은 “3월 말이나 4월 초까지 거름을 주고 가지 치는 등 한 해 농사를 준비해야 하는데 마을이 쑥대밭이 됐다”며 “당장 마을 주민들이 잠 잘 거처도 없다”고 했다.
사정은 경북도 비슷했다.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산불이 지나간 5개 지역 중 가장 시설물 피해가 많은 안동시는 그야말로 쑥대밭이 됐다. 안동시 임하면복지센터 맞은편 동안동농협 임하지점은 폭격을 맞은 듯 건물 파편이 사방으로 튀어 있고 내부가 새카맣게 탄 모습이었다. 농협 건물 뒤편 마을에도 멀쩡한 집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교회도 창문이 깨졌고, 비닐하우스도 불길에 비닐이 녹아내려 뼈대만 남아 있었다. 마을 초입의 한 주택은 지붕만 남기고 폭삭 내려앉았다. 경북에서만 이번 산불로 주택 3369곳이 피해를 입었다.
경남 산청ㆍ하동 지역을 휩쓴 산불의 주불이 잡힌 지 1시간30분쯤 지난 30일 오후 2시30분쯤 경남 산청군 시천면 중태마을. 불에 탄 경운기의 타이어가 불에 타 재가 돼 있다. 안대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산청 주불 진화엔 213시간 34분 걸려...역대 두 번째로 긴 산불
불은 껐지만, 화마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는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할 전망이다. 중대본에 따르면 산불영향구역은 총 4만8239ha에 이른다. 이는 서울 전체 면적의 약 80%에 달한다. 주택 3000여 동, 농업시설 2000여 건이 전소했고, 국가유산 피해도 30건에 달한다. 또 사망자 30명을 포함해 모두 7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일단 산불 진화는 완료했지만, 경계를 늦추기엔 이른 상황이다. 중대본 측은 "건조한 대기 상황과 바람이 지속하고 있는 만큼 잔불 처리와 뒷불 감시는 진화대원과 헬기를 동원해 이어갈 방침"이라고 했다.
경남 산청ㆍ하동 지역을 휩쓴 산불의 주불이 잡힌 지 1시간30분쯤 지난 30일 오후 2시30분쯤 경남 산청군 시천면 외공마을. 산불이 덮친 한 주택의 판넬 지붕에 주저 앉아 있다. 안대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정부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중앙합동피해조사단 가동할 것"
정부는 또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와 '중앙합동피해조사단'을 구성해 산불피해 복구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고기동 중대본부장은 “산불로 삶의 터전을 상실한 이재민의 조속한 일상회복과 피해복구를 위해 최고 수준의 지원을 추진하겠다”며 "관련 부처와 지자체는 추가산불 방지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산불 발생시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