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3 (목)

'유치에서 정착으로' 부산시, 외국인주민 지원계획 수립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8일 부산시청 회의실에서 부산시외국인주민지원협의회의 올해 첫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부산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부산시는 시 외국인주민지원협의회의 올해 첫 번째 회의를 열고 '2025년도 부산광역시 외국인주민 지원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정주할 수 있도록 지원 정책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부산의 외국인주민 수는 지난 2023년 기준 8만 3401명으로, 부산 인구수의 2.5%에 해당한다.

국적별로는 베트남, 중국, 태국 등의 출신이 많다. 구군별로는 남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 순으로 많으며, 남구와 사상구는 유학생이, 사하구와 강서구는 외국인근로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날 회의에서는 시의 새로운 외국인 정책과 관계기관, 구·군 등의 지원 정책을 반영한 지원 계획에 대해 심의한 뒤 이를 의결했다.

시는 '외국인 주민과 함께 활력있는 글로벌 허브 도시 부산'을 새 비전으로, 유치에서 정착으로, 분산에서 통합으로 외국인 주민과 함께 살 수 있는 선순환 체계 구축을 목표한다.

이를 위해 4개 전략과 14개 과제, 52개 세부 사업을 꾸렸다. 사업 예산은 총 68억9700만원 상당이다.

정주기반 마련, 정주 환경 조성, 상호 존중 및 소통 강화, 지원체계 개선 등 4개 전략을 기반으로 지역기반 비자정책 추진, 부산형 유학생 유치양성 전략 수립, 자녀 성장지원 및 생활 거주 지원, 취창업 지원, 소통 네트워크 운영, 부산 외국인 통합지원체계 마련, 외국인 주민 실태조사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지역의 인구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지만 외국인주민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지난해 하반기 인구정책담당관실 내 외국인정책팀을 신설해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지역에 살고 있는 외국인주민들이 불편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외국인 친화 환경 조성을 위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나갈 것”이라며 “지역에 유입된 외국인들이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