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아무도 너희 AI 안 쓴다”는 말에…확 바뀐 검색으로 승부수 띄운 이 회사

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가 초록창을 갈아엎었다. 인공지능(AI) 기반 검색 기능을 본격적으로 선보이면서다. 한층 정확하고 편리한 질문과 답변이 가능해지면서 플랫폼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늘리고 네이버의 경쟁력과 기술력을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 27일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검색 결과를 요약·정리하고 초개인화 추천으로 이어지는 AI 브리핑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용자가 모바일과 개인용컴퓨터(PC)에서 정보성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결과를 정부부처·공공기관에서 핵심 정보를 발췌해 전면에 배치한다. 이후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 지식인, 클립, 플레이스 등에 업로드된 관련 게시물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간결하고 풍부한 정보 제공을 통해 이용자의 탐색 시간을 줄이고 검색 만족을 높이겠다는 목표다.

[사진 = 네이버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기자가 네이버에서 ‘여권 사진 촬영 시 안경·모자’를 검색했을 때 “여권 사진에서 안경은 착용할 수 있지만, 렌즈에 색이 들어간 안경·선글라스 등은 착용 불가합니다. 또한 안경에 빛이 반사되지 않아야 하며 안경테가 눈을 가리면 안 됩니다. 얼굴 윤곽이 뚜렷이 드러나야 하며 모자나 머플러 착용은 금지입니다”라는 답변이 출력됐다.

출처는 외교부로 표시됐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였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페이지 링크를 눌러 확인이 가능하고 사진을 내세운 부분도 장점이었다. 한국인의 삶에 밀접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에서는 먼저 운영을 시작한 구글의 AI 오버뷰의 상위 호환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구글의 검색 결과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로 비교적 간단했다. 출처는 외교부로 동일했으나, 사진은 띄워 주지 않았다. 또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이나 재산세 납부 시기 등에 대해서도 AI 요약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다. 반면 네이버는 AI 브리핑을 해 줬다.

여행지 AI 브리핑도 흥미로웠다. 아직은 일본지역만 서비스 중이라 ‘교토 여행’을 검색하니 최상단에 지역 위치와 평균 기온, 비행시간, 환율 등 교토에 대한 개요가 떴다. 그 아래에 AI 브리핑이 위치했다. 구체적으로 “교토는 다양한 전통음식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고즈넉한 분위기의 찻집과 료칸도 방문해 보세요. 벚꽃이 만개하는 봄에는 계절감을 풍성히 느낄 수 있습니다”라고 이용자가 여행지에서 무엇을 하면 좋을지를 제안했다.

꼭 먹어 봐야 할 음식으로는 가이세키, 두부요리, 장어요리, 니신소바를 추천했다. 음식 사진을 누르면 맛집으로 넘어간다. 교토에서 구매하면 유리한 물건과 방문하면 좋은 관광지를 훑어 주는 클립도 함께 노출됐다.

[사진 = 네이버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 챗GPT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 브리핑은 대체로 정답이 존재하는 질문일수록 풍성한 답변을 도출했다.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줄거리를 요구하자 “1950년대 제주도를 배경으로 가난하지만 당찬 소녀 오애순과 묵묵한 성실함을 지닌 소년 양관식의 사계절을 담은 사랑 이야기를 그립니다”라는 리드문과 함께 블로그, 브런치, 나무위키 등 다양한 채널에서 정보를 뽑아 스토리를 정리했다.

숫자로 표기된 주석을 누르면 출처를 알 수 있다. 빅테크 오픈AI의 챗GPT-포오(4o)와 결괏값 구성이 비슷했다. 하지만 함께 보는 드라마 숏텐츠나 관련 질문으로 연결해 즐길 거리를 선사해 준다는 점에서 네이버가 챗GPT보다 나았다.

검색어의 특성을 고려하기도 했다. 이날 오후 서울시 송파구 잠실4동의 최고 기온인 ‘8도에 적합한 옷차림’을 검색하자 이미지를 가장 먼저 보여 줬다. 네이버가 추천해 준 대로 긴 코트와 얇은 스웨터, 운동화를 착용한 뒤 비 소식이 있어 우산만 추가로 들고 외출했다.

다만 서비스 초기인 만큼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국내 사용자가 대부분인 포털인 만큼 한국어에 최적화된 탓인지 똑같은 질문을 영어로 했을 때는 동떨어진 답변을 내놨다. 네이버는 앞으로 멀티모달 기술과 다국어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오늘 직장인 사이에서 제일 많이 검색된 단어’를 확인해 보니 ‘요즘 뜨는 직장인 현실 부업’, ‘자격증 벼락치기 꿀팁’, ‘직장인 대출 조건’ 등을 나열해 줬는데 사실 여부 파악이 불가능했다. 표본별 검색어 지표와 같은 근거가 없었기 때문이다.

김광현 네이버 검색·데이터플랫폼 부문장은 “네이버 검색은 오랜 검색 서비스 경험과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쉽게 찾는 방향으로 고도화될 것”이라며 “네이버가 강조하는 다양성과 확장성을 확대하고 AI 비서 시대가 일상에 도래하는 시기에 맞춰 새 사용자 경험을 적기에 제공하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