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어린 시절 구석기 시대 돌도끼와 동굴 몇 개 암기하다 보면 역사에 대한 흥미가 사라지곤 했다. 그러다보니 정작 우리 시대의 역사, 생활사, 풍속사는 살피지 않았다. 사실 읽을만한 책도 드물었고.
역사 공부는 고대사가 아니라 당대사여야 한다는 믿음으로 산다. 예나 지금이나.
'옛 우물에서 맑고 새로운 물을 긷는다.(舊井新水)'라는 신념을 가진 저자 유승훈은 "나는 거대한 역사를 꿰뚫는 역사학자도 아니고 산업화 사회를 치밀하게 분석하는 사회학자도 아니다. 내가 단지 관심을 두는 것은 왕십리 똥파리요, 강남 복부인이요, 손 없는 날이요, 자동차 고사요, 소개팅이요, 마담뚜 등등 하찮아 보이는 것들이다."라며 겸손을 과장한다.
베이비부머 세대로 태어나 살아온 나로서는 <서울 시대>가 보여주는 서울의 당대사, 변천사가 곧 우리 세대의 시대사다. 그래서 전혀 낯설지 않다.
군복무를 마치고 서울에 정착하여 몇 년 간 남의집 살이를 할 때도 아파트였고, 내 집의 시작도 아파트였다.
그랬을 것이다. 내가 다니던 면소재 초등학교는 1층이었다. 학력경시대회를 치르느라 군단위 초등학교에 갔더니 2층이었다. 학교가 2층이라는 것이 놀라워 한동안 친구들에게 떠들고 다녔던 기억이 남아있으니.
저자의 덕분에 서울 시대사가 복원됐다. 생각이 있다면 서울시와 서울시의회, 서울시교육청은 이 책을 버려둘 수가 없을 것이다.
▲<서울시대> 유승훈 글 ⓒ생각의힘 |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