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7 (월)

이슈 로봇이 온다

전기차처럼 휴머노이드도 중국이 미국 추월 중?…연구기관 분석 나왔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미어낼리시스 보고서

유니트리, 이미 시장에 완성품 내놔

아기봇은 올해 ‘5000대 생산’ 목표

특허 출원 4배…가격 경쟁력도 앞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가 개막한 지난 1월 7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퐁텐블루 호텔 엔비디아 전시관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유니트리 G1이 한 관람객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둘러싼 경쟁에서 미국이 중국에 추월당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도체 및 인공지능(AI) 분야 연구 분석 기관인 세미어낼리시스(SemiAnalysis)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이 전기차 산업에서 이룬 파괴적 영향력을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도 재현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고 미 경제 전문 방송인 CNBC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기업 BYD(비야디)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했던 테슬라 매출을 추월한 것처럼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도 중국이 미국 기업들을 이미 앞서나가고 있다는 진단이다.

미국에서는 테슬라의 옵티머스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테슬라는 올해 약 5000대 생산을 계획 중이다.

테슬라는 아직 대량 시장에 진입하지 못한 앱트로닉, 보스턴 다이내믹스 등 미국 경쟁업체보다는 우위에 있지만, 중국 기업에 비해서는 그렇지 않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유니트리 로보틱스는 지난달 전자상거래 플랫폼 제이디닷컴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두 대를 판매했으며, 상하이에 위치한 로봇 스타트업 아기봇은 옵티머스와 마찬가지로 올해 5000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니트리는 지난 1월 로봇 16대를 인간 무용수들과 함께 춤추게 하는 시연을 전국 방송에 내보내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테슬라는 올해 1000대 이상의 옵티머스를 테슬라 공장에 실전 배치한다는 구상이지만, BYD와 지리 등은 이미 유니트리의 로봇을 일부 공장에 배치한 상태다.

유니트리, 아기봇뿐만 아니라 샤오미와 BYD, 체리, 샤오펑 같은 전기차 제조사들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다.

모건스탠리의 2월 연구 노트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인간형’이라는 단어가 언급된 특허 출원 수에서 중국은 5688건으로 미국의 1483건을 크게 앞질렀다.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도 중국이 앞서 있다.

옵티머스의 경우 판매가가 2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마저 대량 생산, 짧은 연구 개발 주기, 중국산 부품의 저렴한 비용 등 3박자가 맞아떨어질 때 가능하다.

유니트리는 지난 5월 1만6000달러에 인간형 로봇을 출시했다.

보고서는 “유니트리 로봇은 현재 시장에서 유일하게 실행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으로 미국산 부품과도 완전히 분리돼 있다”며 “지능형 로봇 시스템, 특히 인간형 로봇 분야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유일한 국가는 중국이며, 미국은 모든 면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권재현 선임기자 jaynew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