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은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국내외 개발자들을 초청해 개발자 컨퍼런스 ‘플레오스 25’를 개최하고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 개발 현황과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반 앱 생태계 조성 방안 등을 발표했다.
플레오스25에 전시된 E&E 아키텍처. 현대차그룹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사로 나선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장 사장은 플레오스 브랜드와 차량 제어 운영체제 ‘플레오스 비히클 OS’,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플레오스 커넥트’를 공개했다.
플레오스 비히클 OS는 차량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운영체제로, E&E(전자·전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차량이 지속적으로 연결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기술이다.
현대차그룹은 플레오스 커넥트를 2026년 2분기 출시되는 신차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해 2030년까지 약 2000만대 이상의 차량에 확대할 계획이다.
행사에는 구글, 네이버, 삼성전자, 쏘카, 우버, 유니티 등 주요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함께 참여해 모바일과 차량 간 연결성을 강화하고 차량용 앱 마켓을 통한 모바일 기반 서비스의 확장 방향성을 공유하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은 플레오스 25를 통해 도시·국가 단위의 모빌리티 협력 체계 ‘넥스트 어반 모빌리티 얼라이언스’(NUMA)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교통약자 지원, 지방 소멸 대응, 기후 위기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민관 협력을 통해 데이터 연결 기반의 최적화된 이동 환경을 구현하고자 하는 생태계다.
그 일환으로 현대차그룹은 DRT(수요 응답형 교통) 플랫폼 ‘셔클’, 교통약자 디바이스 ‘R1(알원)’ 등을 중심으로 한국 및 유럽 정부기관과 협력해 도시형 모빌리티 솔루션을 전개할 계획이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