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사가잉 단층'서 발생했을 가능성
1930~1956년 7.0 이상 지진만 6차례
인도판과 버마판 매년 최대 1.8cm 이동
진원 깊이 얕아 거리 먼 태국·中도 피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얀마에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해 대규모 피해가 나타나자 그 원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얀마는 4개 이상의 지각판 사이에 끼어 있어 지진 위험이 이전부터 늘 존재했던 국가다.
28일 인도 매체 인디아투데이 등에 따르면 이번 지진이 발생한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 인근은 인도판과 순다판, 또는 인도판과 버마판의 경계에 있는 ‘사가잉 단층’ 위에 놓여 있다. 미얀마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 순다판, 버마판 등 최소 4개 지각판 사이에 위치해 있다. 여러 개의 지각판이 맞닿아 있어 지진 위험이 높을 수밖에 없다.
사가잉 단층은 약 1200㎞ 길이로 미얀마 국토를 남북으로 관통한다. 이 단층 선상에 만달레이를 비롯해 수도 네피도, 최대 도시 양곤 등 미얀마의 주요 도시가 모두 자리 잡고 있다.
이번 지진의 파장이 태국 방콕, 중국 윈난성 등 진앙에서 먼 곳까지 퍼진 것은 진원의 깊이가 비교적 얕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진원의 깊이를 10㎞로 관측했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