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상 최대 유증에 제동 건 금감원
28일 금감원에 따르면 금감원은 전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출한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정정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유상증자 당위성, 주주 소통 절차, 자금 사용 목적 등에서 투자자의 합리적 투자 판단에 필요한 정보의 기재가 미흡하다고 판단해 정정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25일 경기 성남시 성남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48기 정기 주주총회에 주주들이 참석하고 있다. 앞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일 3조6000억원 대규모 유상증자 추진을 기습 발표하며 주가가 13% 급락했으나, 김동관 부회장 등의 자사주 매입(48억원) 발표로 일부 회복됐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금감원 “지분 매입 1조3000억원 소명 필요”
특히 금감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 직전 지분 매입에 쓴 1조3000억원에 대한 논란도 정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유상증자 계획 발표 일주일 전인 지난 13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임팩트와 한화에너지가 보유한 한화오션 보통주 지분 7.3%를 1조3000억원에 매입했다. 이 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보유 지분율은 연결 기준 34.7%에서 42%로 늘었다.
해당 지분 매입이 한화그룹 승계를 위한 일종의 정리 작업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한화오션까지 이어지는 방산부문 지배력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더불어 한화 총수 일가 지배력이 큰 한화임팩트와 한화에너지는 1조3000억원의 한화오션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었다.
서울 종로구 연합인포맥스 화면에 한화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삼성SDI은 허용? 금감원이 불확실성 키운다 비판도
하지만 금감원은 역시 대규모 유상증자로 논란을 빚었던 삼성SDI 유상증자 계획에 대해서는 긍정적 시각을 유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삼성SDI는 그간 맺어온 계약 등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유상증자 자금을 어떻게 쓸지 명확히 밝혔다”면서 “어려운 시기에 기업이 성장을 위해,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막지 않겠다는 게 금감원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결국 금감원은 유상증자를 막아 주가를 안정시키겠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보이는데, 시장이 금융당국의 의도대로만 움직이지 않는다”면서 “시장기능을 원활하게 하도록 돕고, 기업들이 자기 의사대로 경영 활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금감원의 역할”이라고 짚었다.
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