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방향으로 몸부림 쳐야 미래에 결과 나와"
국립오페라단 단장 "정책 정해지면 최선 다해야"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7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공연예술진흥 기본계획 공청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국립예술단체의 지방 이전 등을 추진 중인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새로운 방향으로 몸부림쳐야 미래에 결과가 나온다"며 이전 의지를 재차 밝혔다.
문체부는 27일 서울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공연예술진흥 기본 계획' 공청회를 열었다.
올해 상반기 공연예술진흥 기본 계획(2025~2029)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이날 공청회에서 '세계 무대를 향한 핵심 플레이어 육성', '지역 중심 공연예술 지원체계 혁신' 등의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문체부는 최근 국립국악원 조직개편,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과 통합 사무처 신설 등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예술계의 반발도 만만치않아 문체부의 고심이 깊다.
그러면서 서울과 수도권 편중으로 지역 문화예술이 처한 어려움 등을 들며 변화의 필요성을 부각했다.
유 장관은 "공연예술진흥 기본계획이 더 풍성하게 모아져서 공연예술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이 안정되게 자기 창작욕구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장으로 전환됐으면 좋겠다"며 "새로운 방향으로 몸부림 쳐야 미래에 결과가 나온다"고 재차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7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공연예술진흥 기본계획 공청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역 중심 공연예술 지원체계 혁신을 주제로는, 중앙-지역이 협업해 국립공연장 수준의 지역 거점 공연장을 육성하는 방안, 지역대표예술단체 육성 사업의 효과와 개선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는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 추진과도 연결된다.
이번 공연예술진흥 기본계획에도 서울예술단을 비롯해 내년 하반기 국립예술단체 이전을 단계적으로 추진, 지역예술 생태계 복원을 위해 단체와 시설, 대학을 연계하겠다는 구상이 포함됐다.
그러면서도 "거리 이동이 아니라 순환 플랫폼처럼 전국을 순환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냈다.
박인건 국립극장장은 "국립예술단이 지방으로 가든, 지방분권형 국립극장이 되든 간에 장애요인을 지자체와 협의한다면 문체부의 정책이 더 빨리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주원 부산오페라하우스발레단 예술감독은 지역에서 공연예술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hee@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