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1 (월)

서울대 의대 복귀 결정… “등록 후 투쟁” 선회

0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적 위기에 단일대오 흔들

학생 66% “1학기 등록 찬성”

연대도 등록 휴학 방식 전환

주요 의대, 대열 이탈 현실화

의대협 ‘미등록 휴학 유지’ 강경

대학 “수업 출석 않으면 유급”

의대 증원에 반발해 휴학 중인 서울대 의대생들이 등록 여부 투표 결과 66%가 찬성해 다 같이 등록을 결정했다. 등록 마감일을 넘기며 버텼던 연세대 의대생들도 제적 위기가 닥치자 뒤늦게 등록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두 대학이 ‘미등록 투쟁’에서 이탈하면서 단일대오를 유지하던 의대생들의 투쟁도 동력을 잃는 분위기다.

서울의대 의정갈등 대응TF가 투쟁 방식과 관련한 자체 투표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607명 중 등록에 찬성하는 비율 65.7%(399명), 휴학을 계속하겠다는 응답은 34.3%(208명)에 나타났다. 사진은 2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모습.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서울대 의대생들로 구성된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에 따르면 전날 밤부터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지속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투표를 진행한 결과 응답 학생 607명 중 65.7%(399명)가 등록에 찬성했다.

TF는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등록 마감일인 이날 ‘일단 등록’으로 방침을 정한 만큼 서울대 의대에선 미등록 제적자는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의대는 이달 초 학생회가 학생들에게 휴학을 종용한 사실이 드러나 교육부가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정도로 강경노선이었다. 그러나 앞서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21일) 등이 미등록자에 대한 제적 조치에 돌입하자 제적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마음을 바꾼 학생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등록 마감일까지 재적생의 40%가량이 등록하지 않았던 연세대 의대생들도 결국 전날 밤 ‘일단 등록’으로 급히 공식 입장을 바꾸고 학교 측에 추가 등록을 신청하고 있다.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강의실에 불이 꺼져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연세대 의대가 공개적으로 ‘등록 투쟁’으로 선회한 것이 다른 학교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연세대와 같은 날 등록을 마감한 고려대는 28일 최종 제적 처분을 앞두고 제적 대상자들과 상담을 진행 중인데, 복학을 희망하는 상담 신청이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 이종태 이사장은 연합뉴스에 “고려대는 21일까지 등록률이 50%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가 현재 (복귀 의사를 밝힌 학생이) 80% 수준까지 늘어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의대생 단체는 이날도 ‘미등록 투쟁’을 이어간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이날 서울대·연세대를 제외한 38개 의대 대표 명의로 “투쟁이 끝난 것이 아니다”란 입장문을 냈다. 이들은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의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의대는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며 “협회는 기존 방향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의료계에서조차 “이제는 수업에 복귀해야 할 때”란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어서 실제 개별 학생들이 단체 입장에 얼마나 동조할지는 미지수다. 비수도권 의대생 학부모 A씨는 “의대생들은 의료계를 위해 투쟁한다고 하지만 제적되면 의사가 못 되는 것 아니냐”며 “‘일단 제적은 피해야 한다’며 자녀를 설득하고 있다. 다른 학부모들도 비슷한 마음일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생의 등록 마감일인 27일 서울대병원에서 젊은 의료진이 이동하는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등록률이 높다고 수업이 정상화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교육부와 대학은 수업 복귀 여부는 단순히 등록 여부가 아니라 ‘실제 강의실에 나오고 수업을 듣는지’로 판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등록을 결정한 서울대와 연세대도 등록 후 수업은 거부한다는 입장이어서 사태가 완전히 수습되기엔 시일이 다소 소요될 전망이다. 대학은 등록한 학생도 수업에 출석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시킨다는 방침이다.

정부와 대학이 작년처럼 예외를 두지 않고 수업 거부 행위에 유급·제적으로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의대가 아닌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B씨는 “이미 의대생들은 많은 특혜를 받았다”며 “이번엔 학교가 약속한 대로 수업 미복귀자들에 대해선 학칙을 원칙대로 적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