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AI 모델 활용은 장려할 일"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딥시크가 한국 시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법 준수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상태"라며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우리 법에 맞추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2025년 3월 정례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딥시크는 지난달 15일부터 국내 양대 앱 마켓(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앱의 신규 다운로드를 잠정 중단했다. 개인정보의 과도한 수집과 전송을 두고 우려가 커지면서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처리 방식 관련 공식 질의서를 보내고 서비스에 대한 자체 분석에 착수했다. 이후 개인정보 처리방침 상 미흡한 부분이 일부 확인됐고, 개인정보위는 잠정 중단과 개선·보완을 권고했다.
딥시크 측은 개인정보위의 질의서를 받은 뒤 국내 대리인을 지정해 소통에 나서고 있다. 고 위원장은 "개인정보위의 질의서 발송 후 국내 대리인을 정해 딥시크 측과 소통이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딥시크는 글로벌 서비스를 급하게 출시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처리 방침과 관련해 미비한 부분이 있었다고 설명해왔다.
딥시크 이용자들의 데이터가 숏폼 플랫폼 '틱톡'을 운영하는 중국 바이트댄스로 넘어갔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딥시크 이용자들의) 데이터 흐름이 바이트댄스의 클라우드 서버로 향했다는 것까지 확인했고,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로봇청소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진행 중인 개인정보 수집·이용 현황 사전 실태점검에 대해서는 현재 초기 점검 단계라고 설명했다. 고 위원장은 "로봇청소기를 포함해 하드웨어적 요소가 있는 것들은 인증 제도가 필요하지 않겠나 싶은 고민은 있다"면서 "범용 인증제도를 도입하는 건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 내부적으로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개인정보 등 규제를 비관세장벽으로 규정하며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미국 정부에서 어떤 현안이 있는지 파악하고 정리하는 중"이라면서 "관련 부처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고 오는 4월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2025년 3월 정례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