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1 (화)

올해 최대치 찍은 비과세 배당… 소액주주, 대주주 윈윈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그림=챗GPT


배당금을 지급할 때 회계상 내부 처리를 통해 배당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비과세 배당’이 국내 증시에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주주총회에서 자본준비금 감액을 안건으로 상정한 기업은 126곳에 달했다. 이는 2023년 27곳, 2024년 36곳에 비해 크게 늘어난 수치다.

상법 제461조의2에 따라 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초과액 내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다.

이때 자본준비금은 주식발행 초과금 등 영업활동 외의 수익이므로 비과세 대상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해 배당을 지급하면 주주들은 이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소액주주는 15.4%의 배당소득세를, 대주주는 최대 49.5%의 금융소득종합과세를 피할 수 있는 것이다.

올해부터 비과세 배당을 채택한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우리금융지주를 들 수 있다.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25일 주주총회에서 자본준비금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안건을 통과시키고, 이를 통해 3조원가량을 배당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회사 측은 그중 4901억원을 이번에 주주에게 배당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한국금융지주, 셀트리온, 현대엘리베이터 등 다양한 기업들이 올해 비과세 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비과세 배당을 일종의 조세 회피 수단으로 보면서 국가 세수가 감소할 수 있다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자본의 환급과 이익의 배당을 엄격히 구분하는 상법상 관점에서 볼 때 채권자 보호가 약화될 수 있다는 점 등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박경진 명지대 교수는 회계학회 논문 ‘자본관련 회계기준과 상법의 조화 및 개선방안’에서 “자본거래의 결과물인 자본잉여금이 원천인 자본준비금을 감액하여 배당가능이익의 재원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은 상법의 근본적인 이념을 무너트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같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소액주주와 대주주 모두가 ‘윈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비과세 배당은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