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신용강등 한 달
일부 매장 유제품·라면 매대 수급 차질 나타나
2월분 정산금 차질 시 납품 중단 재발 가능성
매입채무유동화 변제 약속에도 불신·반발 커져
27일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우유 매대. 서울우유협동조합이 1주일 넘게 납품을 중단하면서 이 회사 제품은 자취를 감췄고, 홈플러스 자체브랜드(PB) 우유가 다수 진열돼 있다. 김흥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매대에서는 납품에 대한 이견으로 일부 협력사 제품이 공급되지 않은 여파가 고스란히 드러났다. 대표적으로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지난 19일부터 1주일 넘게 납품을 중단하면서 이 회사 로고를 단 우유가 아예 보이지 않았다. 기존 확보해 놓은 멸균우유나 치즈, 휘핑크림 등 유제품만 간간이 보였다.
판매대금 문제로 물량을 넉넉히 확보하지 못한 탓에 우유 매대에는 기성브랜드 제품보다 홈플러스 자체브랜드(PB) 상품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컵라면이나 샤인머스켓 등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상품도 관련 매대 곳곳이 휑한 모습을 드러냈다. 매장 직원은 "재고가 아예 없는 상황은 아니지만 물량을 이전보다 적게 들여오는 것 같다"면서 "판매되고 다시 채워 넣는 과정에서 시차가 발생해 수요가 부족해 보일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인근의 기업형슈퍼마켓(SSM)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27일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컵라면 매대. 일부 제조사 제품이 소진되고 이를 추가로 진열하지 않아 군데군데 빈공간이 휑하게 드러나 있다. 김흥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8일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는 데 도화선 역할을 한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 강등이 확정된 지 한 달째가 된다. 홈플러스는 정상 영업활동으로 마련한 재원을 통해 협력사 납품 대금, 입점업체(테넌트) 정산금, 임직원 급여 등 상거래채권을 순차 지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시간이 갈수록 불확실성이 커지는 형국이다.
반면 다른 대형마트 관계자는 "업계가 매주 할인행사를 진행하는 것은 맞지만 창립 타이틀을 달고 한 달 내내 행사를 이어가는 경우는 이례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가 마진을 최소화하고 멤버십 혜택 등 자체 부담을 통해 할인율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며 "수익성에 한계가 있다"고 짚었다.
이날 오전까지 홈플러스가 변제를 마쳤다고 밝힌 상거래채권은 약 5470억원 규모다. 이 금액에는 회생절차 개시(3월4일) 20일 전인 지난달 12일 이전에 발생한 회생채권과 이후 20일분의 공익채권, 회생절차 개시 이후 변제액 등이 모두 포함돼 있다. 이달 말까지 홈플러스가 협력업체와 테넌트에 지급해야 하는 2월분 판매대금과 정산금 지급이 원활하게 마무리되지 않으면 추가로 납품 중단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25일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홈플러스 공동대표와 비대위 간담회 추진결과 보고 기자회견'을 열고 MBK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과 상거래채권 즉시 반환 등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에 홈플러스가 최근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등 잔액 4618억원 규모의 매입채무유동화도 상거래채권으로 모두 변제하겠다고 밝힌 것을 놓고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ABSTB는 홈플러스가 협력업체 상품을 구매카드로 결제한 뒤 이를 토대로 신용카드사가 발행한 단기채권이다.
전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를 믿을 수 없다"며 "ABSTB는 단기 투자인데 이를 언제 변제할 것인지, 재원을 어떻게 마련하겠다는 것인지 약속할 수 없다면 사실상 의미를 숨긴 거짓말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ABSTB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도 "회생채권으로 분류하더라도 장기 분할로 상환될 가능성이 크고, 변제 기간 중 (홈플러스의) 파산으로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다"며 서둘러 원금을 반환하라고 주장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