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1 (월)

"목표는 약달러"…트럼프 '속내' 보여주는 보고서 공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펼치는 관세 전쟁의 밑그림으로 '미런 보고서'가 지목되고 있습니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이 지난해 11월 작성한 이 논문의 제목은 '글로벌 무역 시스템 재구성을 위한 사용자 가이드'입니다.

26일(현지 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41페이지 분량의 이 논문은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한 경제 정책을 이해할 수 있는 청사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일단 이 논문의 최종 목표는 달러 가치 절하를 통한 무역수지 적자와 재정 적자 해결입니다.

미국의 막대한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지 않는 것은 1944년 브레턴우즈 협정에 따라 기축통화가 된 달러에 대한 수요 때문입니다.

미런 위원장은 미국이 주요 국가에 자국 통화의 가치를 높이도록 압박하고, 달러 가치를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대목에서 등장하는 것이 관세입니다.

외국 정부가 자신들에게 불리한 통화 가치 조정에 순순히 합의할 가능성이 낮은 만큼 관세를 통해 선택을 압박하자는 것입니다.

관세는 재정 적자 해결책의 방안으로도 제시됐습니다.

중국 등 각국 정부가 보유한 미국 국채도 재정을 악화시키는 요인입니다.

외국 정부에 지불해야 하는 이자도 천문학적인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워싱턴DC에선 외국 정부에 지급하는 이자를 줄이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현재 보유 중인 국채를 100년 만기 무이자 채권으로 교체하자는 아이디어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다만 외국 정부 입장에선 국고로 매입한 미국 국채에서 발생하는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자발적으로 포기할 리 없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은 모든 국가에 대해 관세를 올린 뒤 외국 정부가 미국 국채를 무이자 채권으로 교환할 경우에만 관세를 완화하는 인센티브를 준다는 것입니다.

미런 위원장의 논문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는 불명확합니다.

다만 소식통에 따르면 이 논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런 위원장을 발탁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일각에선 미런 위원장의 논문에 근거해 '마러라고 협정'이 추진될 수 있다는 예측도 제기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플로리다 마러라고 자택에 주요 국가의 정상을 초청한 뒤 브레턴우즈 협정을 대체할 새로운 국제 통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미런 위원장의 논문에 대해 과도한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는 반론도 적지 않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