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미 협력으로 신원 확인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6.25전사자 봉환유해 합동안장식이 거행되고 있다. 2020.7.29/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6·25전쟁 당시 조국을 지키다 28세의 나이로 산화한 호국영웅의 유해가 한미의 공동 노력으로 신원이 확인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지난 2020년 국군 전사자 유해봉환 행사를 통해 국내로 봉환된 유해의 신원을 카투사 고(故) 김석연 일병으로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로써 2000년 4월 유해발굴이 시작된 이후 신원이 확인된 국군 전사자는 총 248명으로 늘어났다.
김 일병의 신원 확인은 국유단과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교류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국유단은 미국이 북한으로부터 넘겨받은 국군 전사자 유해 314구를 국내로 모셨고, 김 일병을 포함한 20명의 신원을 확인했다.
국유단은 이어 유가족의 자택을 일일이 방문해 시료를 채취했고, 유가족과 유해의 유전자를 분석 비교해 가족 관계를 확인했다.
고인은 1950년 8월 카투사로 입대했고, 같은 해 장진호 전투에서 적과 싸우다 전사했다. 장진호 전투는 동부전선의 미 제1해병사단과 제7사단 31연대 등 유엔군이 북방으로 진출하던 중 7개 사단 규모의 중공군 제9병단에 포위돼 2주간 펼쳐진 철수작전이다.
고인의 딸인 김문숙 씨의 조부는 "네 아버지는 전쟁을 일으킨 북한 김일성에게 복수하고 싶어서 군에 입대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가족을 잃은 슬픔이 고인을 전쟁으로 이끌었던 것으로 보인다.
김 일병에 대한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이날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김 씨의 자택에서 열렸다. 행사는 유가족에게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 등을 설명하고, 신원확인 통지서와 호국영웅 귀환 패·유품 등이 담긴 '호국의 얼 함(函)'을 전달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h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