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터 차 "동맹 비용분담 늘리기 전에 다른 기여 고려해야"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 |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26일(현지시간) 미 상원 외교위가 개최한 공청회에서 "기회주의적 침략이 대만에 발생할 경우 한반도에서의 미군 주둔, 한국의 후방 지원, 북한 억제를 위한 군사 역량 변화에 대한 정치적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미군의 주둔 비용 분담 방식이 과거 유산이라며 "많은 동맹국은 50년 전보다 훨씬 더 큰 비용을 분담할 능력이 있다"며 "(갑작스러운)변화를 통해 (동맹국을) 놀라게 하는 것은 피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미국과 달리 의회 비준이 필요한 동맹국에 새 (분담) 협정을 위한 정치적 여지를 줘야 한다"고 밝혔다.
또 한국의 대(對)우크라이나 지원 등을 언급하면서 "동맹국의 비용 분담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기 전에 동맹의 다른 기여를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의 위치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떨어져 있는 것을 '지리적 난제'라면서 "이는 중국, 러시아, 북한과 같은 적과 경쟁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 미국은 대만해협이나 서필리핀해, 동중국해 등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항상 원정팀으로 경기를 치러야 한다"고 했다.
오리아나 스카일라 마스트로 스탠퍼드 프리먼스폴리국제학연구소 연구원도 "부담을 공유하는 것이 재정적 측면에서 자주 논의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미군 군사 시설 건설과 관련해 "일본을 비롯한 많은 동맹국이 이미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한국은 이 비용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한반도에 있는 미군을 한반도 밖의 비상 상황, 즉 중국과 관련된 상황에 활용할 수 있다. 한국은 미국의 전략적 유연성에 동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아울러 미 국제개발처(USAID)나 미국의소리(VOA) 방송 등의 기능이 사실상 폐지된 것에 대해 "이는 미국이 가진 힘과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상대적으로 중요하고 저렴한 도구"라며 지원 재개 필요성을 언급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