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 자정 출시된 마비노기 모바일은 2004년작인 ‘마비노기’ IP(지식재산)를 기반으로 제작된 신작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이다. 모바일과 PC 크로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투를 돕는 ‘펫’조차도 일반적인 MMORPG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게 다가왔다. 강아지와 고양이를 닮은 친숙한 외형을 지닌 데다, 배고픔 수치까지 존재해 어느 순간부터는 허기를 걱정하는 ‘집사’의 마음으로 게임을 플레이하게 됐다. 결국 성장을 잠시 멈추고, 펫을 위한 간식을 제작하려고 각종 재료를 채집하는 데 상당 시간을 쏟았다. 강제된 목표 없이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는, MMORPG의 본질을 다시금 돌아보게 만드는 게임이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마비노기는 성장과 경쟁보다는 거대한 소셜 플랫폼으로서의 성격이 짙은 게임이었다. 이러한 마비노기만의 고유한 지점은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매력적으로 여겨졌다. 관련 콘텐츠를 더욱 다듬고 강화한다면, IP가 다시 활기를 되찾을 가능성도 충분해 보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마비노기 모바일은 자극적인 요소가 적어 이러한 흐름과는 거리가 있다. 원작처럼 마니아층을 확보하는 데는 무리가 없겠지만, 보다 많은 대중에게 어필하기에는 다소 무겁고 느린 경험일 수도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향하는 게임성과 달리, 수익 모델(BM)은 ‘리니지라이크’ 게임처럼 무거워 괴리감이 크다.
캐릭터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패션 아이템과 펫은 캐릭터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단순 치장 아이템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것들 상당수는 확률형 아이템 뽑기를 통해 얻어야 하는데, 고등급으로 갈수록 낮은 획득 확률을 보였다. 심지어 최고 등급인 ‘전설’ 아이템의 경우 에픽 아이템 2개를 합성해서 20% 확률로 얻을 수 있다.
리니지라이크식 MMORPG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가 날로 떨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수익 모델은 마비노기 모바일에 대한 신규 유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