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의대 측 "미등록 학생 제적" vs 학부모 "조금만 더 기다려 주세요"

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려대 의대가 등록금을 내지 않거나 복학 신청을 안 한 학생들을 제적 처리하기로 했다. 고려대 의대 전체 재적생(737명)의 40~50% 수준인 300~350명에 달한다. 전국 40개 의대 중 처음으로 제적 처리를 확정했다.

24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으로 학생들이 들어서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 고려대 의대에 따르면 고려대는 21일까지 등록금을 내지 않거나 이날까지 복학원을 제출하지 않은 의대생에게 28일 제적 통보하기로 했다. 고려대 의대는 제적 통보서를 문자와 e메일, 등기로 발송할 예정이다.

고려대 의대 관계자는 “재적생의 50%에 좀 못 미치는 300∼350명 수준이 제적될 것 같다”고 전했다.

고려대는 학생이 면담을 원하면 제적 처분 전까지 성심성의껏 응한다는 방침이다. 휴학·복학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대 관계자는 “등록 기간을 연장해 달라는 등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면서 “이에 학교 측에서 긴급 면담 시간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려대는 지난 25일 오후부터 제적·복학 관련 면담 신청을 받기 시작했는데, 하루 만에 215명의 학생이 면담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세대 학생들은 일단 등록한 후 휴학하는 방식으로 투쟁 방향을 전환하기로 했다.

전날 연세대 의대는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는 내부 논의 끝에 올해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휴학’으로 전환하기로 하고 이를 공지했다. 연세대 의대는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하고 28일 미등록생 제적 처리를 앞두고 있다. 학생들이 등록 후 휴학 방침을 밝힌 만큼 28일 전에 제적 예정자들의 추가 등록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복귀 마감 시한인 서울대 의대 학생회는 전날 밤부터 전체 학생을 상대로 등록 여부와 관련한 투표를 실시하고 있다. 이날 오전 마감되는 투표 결과가 서울대 의대생들의 움직임과 직결될지는 미지수지만, 결과에 따라 서울대도 ‘투쟁 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앞서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지난 25일 의대생과 학부모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교육의 질과 학사관리 원칙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27일”이라며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의대 학장단의 통제를 벗어나며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 의지와 전혀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고 했다.

미복귀 의대생들에 대한 제적이 코앞으로 닥치자 의대생들의 동요가 커지는 모습이다.

김다은 제35대 의예과 학생회장 등 고려대 의대 전 학생 대표 5명은 지난 25일 “더 이상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충분히 보장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내기도 했다.

다만 교육부는 여전히 정부 차원에서의 미등록 의대생에 대한 별도의 구제책은 없다는 입장을 유지 중이다. 대학이 자체적으로 뒤늦게 복학생을 받아주는 것도 ‘학칙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만 가능한 실정이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