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선고 직후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3.26. kch0523@newsis.com /사진=권창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남지역 대규모 산불 사태에 여야가 한목소리로 총력 대응을 주문했다. 여당은 야당에 여야정 협의를 제안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6일 긴급 대국민 메시지를 통해 "정쟁을 멈춰야 한다. 산불 피해 복구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모든 정당이 힘을 모아야 한다. 이에 민주당에 정쟁 중단을 호소하며 피해 복구, 재발 방지를 위해 국가재난극복 여야정 협의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권 위원장은 "저희 국민의힘부터 솔선수범하겠다. 산불 피해 지역의 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며 "필요한 입법과 예산 지원, 정책 마련에 앞장서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권 위원장 메시지 발표 직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인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산불재난대응 특별위원회 구성을 완료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소셜미디어 글을 통해 "전례 없는 국가비상사태다. 국민의힘은 즉시 산불 대응 비상체제에 돌입하겠다"며 "산불 발생 및 인근지역 국회의원들께서는 당원 동지들과 함께 산불 예방, 주민 안전 확보, 이재민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주시기 바란다. 이재민 대피소를 방문하셔서 주민들께 따뜻한 위로와 격려의 마음을 나눠 주시길 바란다"고 했다.
여당 의원들은 헌법재판소 앞에서 이어가던 윤석열 대통령 복귀 촉구 시위를 멈췄다. 박대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서울 종로구 헌재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 산불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면서 국민들 우려가 커지고 매우 심각한 단계"라며 "매일 헌재 앞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해오던 1일 기자회견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고궁박물관 앞 더불어민주당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3.26. jhope@newsis.com /사진=정병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서울 종로구 광화문 부근의 당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더 이상 인명 피해가 생겨서는 안 된다"며 "힘들겠지만 소방당국과 산림당국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어제도 안동으로 (산불이) 확대돼 지역이 초토화됐다"며 "심각한 것은 인명 피해인데, 현재 18분이 돌아가셨다고 한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했다.
이 대표는 이날 당 의원들에게 자신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한 2심이 선고되는 법원을 찾지 말고, 산불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황정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에서 "더불어민주당은 대규모 산불 수습, 예방 대책 마련과 피해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명 보호다. 더 이상의 인명 피해는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대변인은 "국민은 물론이고 산불 진화 인력의 안전도 정부는 유념해야 한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가용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산불 진화와 인명 보호에 만전을 기해주시기 바란다. 국회에서도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해 나가겠다. 산불 예방 대책을 마련해 다시는 이런 국가적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산불로 인해 소중한 생명을 잃고, 삶의 터전을 잃은 모든 분들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마음을 전하며, 민주당은 완전한 산불 진화 및 피해 주민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하겠다"며 "정부 역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산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주실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했다.
안채원 기자 chae1@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