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익여신, 기업 2조·가계 1조 이상
주요 은행에서 돈을 빌리고 이자도 제대로 못 내는 기업과 가계의 부실 규모가 역대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장혜승 기자] 주요 은행에서 돈을 빌리고 이자도 제대로 못 내는 기업과 가계의 부실 규모가 역대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말 무수익 여신 잔액은 총 3조178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15.5% 증가한 것이며, 연말 기준 무수익여신 잔액이 3조 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무수익 여신은 '깡통 대출'로 불린다. 연체 여신과 이자 미계상 여신을 합한 수치다. 이자 미계상 여신은 부도업체 등에 대한 여신, 채무 상환 능력 악화 여신, 채권 재조정 여신 등을 포함한다.
지난해 말 기업 무수익여신 잔액은 2조1465억원으로, 전년 말 1조8867억원보다 13.8% 증가했다. 연말 기준으로 기업 무수익여신 잔액이 2조원을 웃돈 것도 처음이다. 전체 기업 여신에서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말 0.24%에서 2024년 말 0.25%로 소폭 높아졌다.
기업대출 부실화는 경영난을 겪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데 따른 여파로 보인다. 법원 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총 1940건으로 전년 1657건에 이어 또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가계 상황도 어렵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저소득자를 중심으로 부채 의존도가 심화하면서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소득·자산 가격 충격 등에 취약해질 수 있다"며 "고령자의 부채 축소가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지 않은 점도 잠재 리스크"라고 지적했다.
zzang@tf.co.kr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