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0 (일)

韓 대행 "불법소각 단속 강화…위반자 엄정 조치"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불 관련 대국민담화 "한 번 훼손되면 원상복구 100년 이상"
10년간 산불 71%가 개인 부주의 때문…"과하다 싶게 철저히 예방"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산불의 주요 원인인 불법 소각 행위 단속을 한층 강화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엄정히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이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통상관계장관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무총리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이헌일·이동현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6일 "산불의 주요 원인인 불법 소각 행위 단속을 한층 강화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엄정히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산불 예방 관련 대국민담화를 통해 "이번 산불이 진화되는대로 그동안 산불 대처와 예방에 어떤 점이 부족했는지 점검하고 깊이 반성한 뒤 개선책을 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21일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번지며 역대 최악의 산불 기록을 갈아쓰고 있다"며 "진화 과정에서 유명을 달리한 4명을 포함해 총 18명이 목숨을 잃고 주민 2만3000여 명이 긴급대피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역대 최악의 산불에 맞서 우리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인력과 장비로 맞서고 있으나 상황은 심상치 않다"며 "의성 산불이 어제 하루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단 몇 시간에 확산하는 등 이제까지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산불 피해가 우려되기에 이번 주 남은 기간은 산불 진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산불 진화를 최우선으로 가용한 인력, 장비를 총동원해 산불 확산의 고리를 단절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의 조속한 일상회복을 위해 긴급구호를 비롯해 행정·재정적 지원에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의성 산불이 발생한지 4일째를 맞은 25일 오후 주왕산 국립공원이 인접한 경북 청송군 청송읍 청운리 일대에 불이 확산되고 있다. /박헌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22일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고, 전날 산불 경보 '심각'을 전국 모든 지역으로 확대하는 한편 국가 소방동원령도 발령했다. 헬기 128대, 군 인원 1144명, 소방인력 3135명, 진화대 1186명, 공무원 등 4652명의 가용인력을 최대한 동원해 진화작업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아울러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신속한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위해 경남 산청, 울산 울주, 경북 의성, 경남 하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번 재난이 지나가면 우리가 국토를 관리해온 방식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며 "재난 예방은 과하다 싶을 만큼 철저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가 여러번 아픔을 겪으며 뼈아프게 배운 교훈"이라고 짚었다.

이어 "아무리 애를 써도 인간의 대비는 자연의 괴력 앞에 늘 부족하게 마련인데 우리가 과연 철저하게 대비하긴 했나 돌아봐야 한다"며 "최근 10년간 발생한 산불의 71%가 입산자 실화, 쓰레기 소각 등 개인의 사소한 부주의로 발생했다"고 말했다.

또 "관련 기관들도 평소에 미리미리 과하다 싶을 만큼 국민들께 산불 예방을 홍보해야 한다"며 "관련 장비와 인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 제대로 운용하고 있는지 평소 철저하게 점검하고, 부족하다면 대응체계와 자원을 철저하게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산림이 한 번 훼손되면 원상복구하는 데 100년 이상의 긴 시간이 소요되고 피해지역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게 된다"며 "논두렁, 밭두렁을 태우거나 각종 쓰레기를 소각하지 말고, 담배꽁초를 함부로 버리지 말아달라. 입산 시 라이터, 버너 등 산불을 유발할 수 있는 화기는 절대 소지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