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0 (일)

“이 시국에 전셋값까지 뛸까 무섭다”…4월 아파트 입주물량, 이달 ‘반토막’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매경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달 아파트 입주물량이 이달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 상승과 임차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6일 직방 자료에 따르면 오는 4월 입주물량은 총 1만3814가구로 이는 이달(2만6337가구) 대비 48% 줄어든 수치다.

특히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가 두드러진다. 다음달 수도권에서는 이달(1만4590가구)보다 무려 72% 급감한 4067가구의 입주가 예정돼 있다. 서울과 경기도의 입주 예정물량은 각각 407가구, 1517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경기도의 경우 2017년 3월(1346가구)이후 가장 적은 입주물량이다.

지방은 총 9747가구로 이달(1만1747가구)보다 입주물량이 17%가량 줄어든다. 입주단지는 18개 단지로 적지 않지만, 대다수 1000가구 미만의 소규모 단지들이다. 광주 2392가구, 대전 1740가구, 부산 1651가구, 경남 1570가구 등 광역시 위주로 입주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올해 1분기에는 7만9782가구의 새 아파트가 입주했다. 남은 2~4분기에는 각 분기당 약 5만 가구 수준의 입주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예년 동기간과 비교할 때 적은 물량이 공급되지만, 공급감소는 주로 물량 부담이 컸던 수도권 외곽과 지방광역도시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만큼, 단기적인 시장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공급 감소로 인한 주택 가격 상승과 임차 시장 불안 등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주택 공급 축소에 대한 불안이 시장과 업계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지난 19일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관련 신속한 후속 조치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번 대책에는 서울 주요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과 서울 도심 내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속도 제고, 신축 매입약정·수도권 공공택지의 조기 공급 등이 담겼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