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안보보좌관 사과 불필요”
“왈츠 사무실 직원이 채팅방에 기자 초대…심각한 일 아니다” 주장
부통령의 ‘유럽 무임승차론’엔 “동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국무회의실에서 취재진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UPI]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 정부 안보 당국자들이 민간 메신저인 ‘시그널’ 채팅방에서 예멘의 후티 반군 공습 계획을 논의해 논란이 이는 것과 관련해 해당 채팅방에서 기밀 정보가 논의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및 미국 대사들과의 회의 도중 기자들과 진행한 문답에서 “내가 알기로는 그 일이 일어날 동안에는 기밀 정보가 아니었다는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후티에 대한) 공격은 완전히 성공적이었다”고 강조했다.
채팅방에서 후티 공습이 논의된 시점에는 공격이 진행 중이어서 이미 해당 내용이 기밀이 아니었다는 취지다.
이번 논란은 해당 채팅방에 시사주간지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이 초대돼 논의 내용을 지켜봤고, 골드버그 편집장이 이를 보도하면서 트럼프 행정부 외교안보라인의 보안 의식이 허술하다는 논란으로 이어지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공교롭게 애틀랜틱 골드버그 편집장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말기인 지난 2020년 트럼프 대통령이 참전용사 비하 발언을 했다는 의혹을 보도한 인사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채팅방에서) 골드버그는 매우 지루하다고 느꼈고, 매우 일찍 (채팅방을) 나갔다”며 “나는 그가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에 해로운 사람이라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국무회의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및 미국 대사들과 만난 자리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NBC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도 사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2개월 사이에 발생한 유일한 흠집(glitch·작은 문제를 의미)”이라며 “심각한 일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이번 사태에 대해 좌절감을 느끼지 않았다면서 사퇴론이 제기되고 있는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해 “마이크 왈츠는 교훈을 얻었다”며 “그는 좋은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의 예멘 후티 반군 공격 계획을 논의한 민간 메신저 ‘시그널’ 채팅방에 시사 주간지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을 초대하는 실수를 저지른 사람은 왈츠 보좌관 사무실의 직원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해당 조사는 연방수사국(FBI)과 관련이 없고, 보안과 관련된 문제”라며 “예컨대 누군가 침입할 수 있을까, 사람이 대화에 끼어들 수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다른 형태의 기구를 찾아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이에 왈츠 보좌관은 “기술 전문가와 법률팀이 검토하고 있으며, 모든 것을 가능한 한 안전하게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채팅방에서 JD 밴스 부통령과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유럽이 무역에 주로 사용하는 수에즈 운하 통과 선박을 보호하려 후티를 공격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유럽의 미국에 대한 무임승차론을 주장한 것에 동의하는지를 묻자 “동의한다. 유럽연합(EU)은 그들은 무임승차(freeloading)를 해왔고, 무역에서 미국을 정말 끔찍하게 대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다만 그는 “나는 EU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다. 바이든이 (무역을) 균등하게 만들지 않았다는 것을 비난하는 것”이라며 4월 2일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