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개장…방송 타며 전국적 명성 얻어 손님 ‘북적’
올해 방문객 1년 새 20만명 감소…오일장날에도 한산
상인들 “백종원 욕심 탓” “아직 효과 있어” 의견 엇갈려
예산시장 살리기 프로젝트가 진행됐던 2023년 2월8일 당시 방문객들로 북적였던 예산시장(왼쪽 사진)이 2년여 뒤인 지난 3월20일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충남 예산상설시장의 2023~2024년 누적 방문객 수는 774만명이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장이 활성화되기 전으로 회귀하진 않는지 불안감이 큽니다.”
지난 20일 충남 예산상설시장 인근에서 만난 이상식 예산시장상인회 사무국장이 근심 가득한 표정으로 말했다.
이날 점심시간대 찾은 예산시장은 오일장이 열린 날이었음에도 비교적 한산했다. 시장에서 음식을 주문한 뒤 식사를 할 수 있는 장소인 장터광장 내 100여개의 테이블은 절반가량밖에 차지 않았다.
테이블 이용을 위한 키오스크에는 ‘지금은 대기줄을 관리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광장 인근 상인들은 텔레비전을 시청하거나 옆 점포 상인과 얘기를 나누는 등 한가해보였다.
경기 수원에서 시장을 찾은 50대 부부는 “지난해에도 평일에 시장을 찾았었는데, 10~20분가량 줄을 서 음식을 받았고 장터광장 테이블에 앉기 위해서도 몇분가량 대기를 했어야 했다”면서도 “기다려야 하는 점포를 찾기 힘들 정도로 방문객이 줄어든 것 같다”고 말했다.
예산군 집계를 보면 빽햄 논란 직후인 지난 1월19일부터 이달 23일까지 66만명이 예산시장을 방문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86만명의 방문객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20만명(23%)이나 줄었다.
장터광장 인근에서 한식집을 운영하는 60대 조모씨는 “3월이 방문객들의 발길이 뜸해지는 시기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평소와 비교하면 줄었다”며 “백 대표가 너무 욕심을 부려 예산시장으로까지 불똥이 튄 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상인 이모씨(50대)는 “백 대표 문제로 방문객이 줄고 있는데, 이후에도 시장에 큰 피해가 가진 않을지 걱정된다”며 “특히나 큰돈을 투자해 입점한 상인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3월 말과 4월 초 주말을 기점으로 보고 있다”며 “이 기간에도 방문객의 발길이 뜸해진다면 예산시장이 상당히 어려운 현실에 처해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
예산군은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계속 더본코리아(백 대표)와 협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방문객의 발길이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예산군 관계자는 “최근 방문객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계절적인 요인 등으로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노후화된 옥상을 리모델링하는 등 쾌적한 시설 조성 및 이용편의 증진을 위한 사업을 추진해 방문객들을 끌어모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글·사진 강정의 기자 justice@kyunghyang.com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