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ETF 줄줄이 마이너스 수익률
"中 증시 랠리 등으로 인도 증시 상단 제한"
중장기적으로 펀더멘털 우려 완화될 듯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0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중국 기술주로 구성된 항셍테크는 올해 16.78% 상승했다. 글로벌 주요 증시 중 종전 기대감이 있는 러시아 증시를 비롯해 폴란드 등에 이어 4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딥시크의 영향으로 중국발 인공지능(AI) 혁신 바람이 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항셍테크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도 치솟았다. 거래소에 따르면 ‘TIGER 차이나 항셍테크 레버리지(합성 H)’의 올해 수익률은 43.81%이다. 올해 급등하고 있는 방산 ETF와 어깨를 나란히하고 있다.
반면 인도 증시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같은 기간 인도 니스티50지수는 연초 대비 -0.53%의 등락률을 보였다. 인도 센섹스 지수도 -0.93%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지난해 인도 증시 붐이 불면서 운용사들도 인도 관련 ETF를 작년 대거 출시하기도 했으나 최근 줄줄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면치 못하고 있다.
올해 들어 두 증시의 분위기가 180도 달라진 이유는 중국 증시의 강세다. 인도는 ‘세계의 공장’ 중국을 대체할 시장으로 주목받으며 지난해 자금이 몰렸지만, 현재는 중국 증시가 기술주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이면서 수급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작년 한 해 국내 인도 주식형 펀드 37개 설정액은 1조 994억원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중국 주식형 펀드 197개의 설정액은 1조 7217억원이 감소했지만, 올해 들어 중국 주식형 펀드의 설정액은 958억 늘었고, 인도에서는 1131억원 빠져나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