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의성군 점곡면 야산에서 산불이 강풍을 타고 번지자 인근 주민들이 걱정하고 있다.
"새로 지은 집에서 살 생각에 기뻤는데…"
24일 경북 의성군 산불 임시 대피소인 의성체육관내 임시 거처인 텐트 앞에 주저앉은 주민 곽 모(70)씨는 넋이 나간 표정이었습니다.
곽 씨는 산불이 사흘째 잡히지 않아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있지만, 불이 꺼지더라도 당장 갈 곳이 막막한 상태입니다.
곽 씨는 "40여 년간 오래된 기와 주택에서 살았는데 거기도 피해를 보았고 남편하고 키우던 염소 2마리, 닭 6마리, 개 1마리도 다 잃었다"고 털어놨습니다.
87세 고령의 할머니는 임시텐트에서 머물며 집에 돌아가기만을 기다렸습니다.
할머니가 친딸처럼 홀로 키운 고등학생 손녀딸은 미리 챙겨온 교복을 입고 학교에 갔습니다.
이 할머니는 "불이 산을 타고 막 넘어오는데 손녀딸이 수업 중이라 전화를 안 받아서 마음을 졸였다"고 말했습니다.
주민들은 며찰째 집으로 돌아가지 못해 지친 기색이 역력했습니다.
현재 의성체육관에는 의성읍 주민과 요양병원 환자 등 166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운전하지 못하는 어르신들은 집에 잠깐 들르지도 못해 대피 당시 입고 있던 옷을 그대로 입고 있기도 했습니다.
주민 신 모(70대)씨는 "의성군민 전체가 산불로 힘들지만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봉사하러 와준 분들에게 고맙다"고 전했습니다.
대구에서 귀농해온 한 주민은 "어릴 때 시골에서 살던 기억 때문에 귀농했는데 이런 경험을 하게 될 줄은 몰랐다"며 "대피 당시에 화재 상황이 심각해서 안동으로 피신했다가 여기로 왔다"고 전했습니다.
의성군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1천481명(2022년)의 귀농·귀촌인이 있습니다.
의성체육관에는 요양병원에서 대피해온 고령의 환자들도 모여있습니다.
요양보호사들은 환자들이 자녀와 영상 통화를 할 수 있게 돕거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등 수고로움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식사와 물품 지원도 계속됐습니다.
대한적십자사 경북지사와 새마을회는 이재민들을 위해 식사를 마련했고 이동식 샤워 시설도 배치된 모습이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