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스웨이 권한일 기자]
삼성E&A(옛 삼성엔지니어링)가 미청구공사비를 대폭 줄였다. 현금유입이 늘면서 적자였던 영업활동현금흐름은 1년 만에 흑자 전환했고 현금 및 현금성 자산도 크게 증가했다.
25일 삼성E&A 사업보고서에서 따르면 지난해 회사의 연결 기준 미청구공사비는 6201억원으로 전년 대비 60.0%(9296억원) 급감했다.
미청구공사비는 공사 진행 후 발주처에 공사비를 청구하지 않은 금액으로, 받을 예정인 점을 감안해 회계상 손실이 아닌 자산으로 분류된다. 다만 공사대금을 최종 수령 하지 못하면 손실로 바뀔 위험성도 있다. 최근 업계에선 원가 상승과 미분양 문제로 대두되는 지표 중 하나다.
삼성E&A의 매출 전체가 국내외 플랜트 도급공사에 집중된 만큼, 여타 건설사와 달리 주택경기 및 분양 실적 등의 영향을 받지 않은 점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청구공사비 등으로 전반적인 현금 유입량이 늘면서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지난 2023년 말 4597억원 적자에서 지난해 1조6358억원 흑자로 급전환됐다. 영업현금흐름은 사업을 통해 발생된 현금유입에서 원가와 인건비, 운영비 등 현금 유출을 제한 액수로, 기업 본연의 사업성과 현금 창출 능력을 가늠하는 잣대다.
다만 공사미수금이 늘고 있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삼성E&A의 단기미수금은 지난 2022년 408억원에 불과했지만 2023년 1186억원으로 3배 가까이 불어난 뒤 지난해에는 1914억원으로 늘었다. 삼성E&A가 안고 있는 매출채권은 작년 말 기준 3조5047억원 규모다.
삼성E&A의 대형 착공 현장이 급증하는 등 외형이 성장한 만큼, 일시적으로 미수금 관련 지표가 증가한 부분은 업계의 시공 대금 집행 관행상 자연스러운 부분으로 볼 수도 있다.
권한일 기자 kw@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