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고효율 AI서비스 개발 위해 오픈소스 활용은 당연한 흐름"
개인정보위 "법적 불확실성 해소해 AI스타트업 생태계 지원할 것"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엔스페이스에서 열린 AI 스타트업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은 24일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엔스페이스에서 AI 스타트업 관계자들을 만나 오픈소스 AI 모델을 활용하는 국내 생태계 지원 의지를 밝히며 이같이 말했다.
오픈소스, 국내 AI스타트업 경쟁력 강화 기회
오픈소스는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소스 코드나 설계도를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방식을 말한다. 한국처럼 대규모 AI 인프라는 부족지만 보건의료, 금융 등에 양질의 데이터가 축적돼 있고 우수한 AI 인력을 보유한 경우 기회를 제공한다.
간담회에서는 스캐터랩, 모레, 엘리스그룹 등 국내 AI 기업들이 오픈소스를 적극 활용한 성과를 공유했다.
하주영 스캐터랩 변호사는 "오픈소스 AI 모델과 폐쇄형 모델 간 성능 격차가 빠르게 좁혀져 현재 약 4개월 수준"이라며 "예를 들어 오픈소스로 공개된 딥시크 R1은 이론상 순수익이 비용 대비 5.4배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비용 효율적 측면에서 스타트업들이 오픈소스를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데이터 활용 불확실성 해소해야"
임정환 모레 AI디렉터는 "오픈소스 AI 모델이 어떤 데이터로 학습됐는지, 사용 시 주의점은 무엇인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라며 "딥페이크 등 위험 요소를 방지하고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특화 영역에서는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균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개인정보위는 비정형데이터 가명처리 기준, 합성데이터 유용성‧안전성 평가기준,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모델 등 다양한 데이터 처리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중소 스타트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생성형 AI 도입·활용 안내서'도 마련할 예정이다.
고 위원장은 "오픈소스는 비용 부담은 줄이면서도 고성능 AI 모델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해 과학 기술 발전과 응용 서비스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라며 "데이터 활용의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오픈소스의 이점이 한국 시장에서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간담회'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