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4일 서울시청에서 '디딤돌소득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서울시는 관련 학회, 기관과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디딤돌소득 비전과 정합성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서울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4일 오 시장은 서울시청에서 열린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식'에서 "디딤돌소득은 복지의 새로운 정의를 실현하는 자립형 복지모델"이라며 "이제는 서울 시민만이 아니라 전국이 함께 누릴 때"라고 밝혔다.
그는 "디딤돌소득을 수급받은 가구 중 근로소득이 증가한 가구가 31.1%, 수급에서 벗어난 탈수급 가구 비율이 8.6%로 기존 생계급여제도의 40배에 달하는 성과"라며 "스스로 일어서는 복지의 가능성을 입증한 제도"라고 강조했다.
이날 협약식에서 서울시는 5개 학회·2개 연구기관과 연구협약을 체결하고 디딤돌소득 대상을 기준중위소득 △65% 이하(빈곤고위험층) △75% 이하(빈곤위험층) △85% 이하(저소득불안층)를 적용해 전국으로 확대할 경우 필요한 예산과 효과를 담은 정합성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4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식'에서 관련 학회, 기관장, 공동연구진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75% 이하 빈곤위험층 모델은 위기 상황 이전 단계부터 보호하는 구조로 약 653만 가구가 대상이며 85% 이하 저소득불안층 모델은 전체 가구의 약 3분의 1을 포괄해 근로연령층까지 폭넓게 지원할 수 있다.
세 모델은 각각 약 13조원, 23조9000억원, 36조6000억원의 재정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됐다.
오 시장은 65% 모델에 대해 "적절한 재원으로 근로의욕을 자극하고 자립을 유도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기본소득은 동일한 금액을 보편적으로 나누는 무차별 복지로 초고소득층에게는 불필요하고 취약계층에는 여전히 부족하다"며 "반면 디딤돌소득은 재원이 한정돼도 저소득층에게 필요한 만큼 지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약자 복지"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대표의 공약대로 기본소득으로 전 국민에게 연 100만원씩 지급하면 50조원이 넘게 들지만, 디딤돌소득은 기준중위소득 65% 기준 모델로 시행할 경우 13조원이면 충분하다"며 "훨씬 적은 재원으로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초고령 사회에서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개혁 없이는 취약계층을 지킬 수 없다"며 "디딤돌소득과 연계한 노후소득보장 체계 개편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한빈 기자(gwnu20180801@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