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민간 연구기관 정책평가연구원(PERI)의 분석에 따르면 세금 등 수입의 변화 없이 사회복지비용 지출이 지금보다 20% 증가하는 경우 30년 뒤 국내총생산(GDP) 대비 나라빚이 202%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치권의 감세 기조를 반영하면 결과는 더욱 암울하다. 사회복지비용 지출 20% 증가를 전제로 소득세율과 법인세율을 각각 10% 낮추면 GDP 대비 나라빚은 228.4%까지 높아진다.
이는 정책평가연구원이 지난 4일 출시한 ‘나라살림게임’을 바탕으로 한 결과다. 나라살림게임은 세금과 지출을 어떻게 줄이고 늘리느냐에 따라 미래 국가 재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가 개발한 ‘Fiscal Ship’ 게임을 한국의 현실에 맞게 바꾼 것으로 세금·연금 개혁·교육 예산 등 15가지 정책 수단을 선택하면 30년 후인 2055년 국가채무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최악의 시나리오에선 국가채무는 최대 490.9%까지 증가한다. 갖가지 포퓰리즘과 감세 정책이 만나는 경우다. 소득세·법인세 등 주요 세금을 40%가량 감세하고, 국방비와 사회복지비, 고등교육재정 등 지출을 크게 늘린 경우다.
정책평가연구원은 재정이 악화하고 나랏빚이 늘면 미래세대에 부담이 전가된다고 짚었다. PERI-Young 지수(PYI)를 통해서다. 미래 세대(2022년 이후 태어난 사람)와 현재 세대(2022년 기준 생존자)의 세금 부담 차이를 의미하는데, 2022년 기준으로 31.8%다. 현재 세대보다 미래 세대의 조세부담률이 평균 31.8% 높다는 의미다.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사회복지비용 지출이 지금보다 10% 증가하면 30년 뒤 PYI는 33.4%로 상승한다. 하지만 같은 전제에서 지방재정교부금과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각각 10% 삭감하면 현재보다 개선된 28.5%까지 낮출 수 있다.
공적연금 수급자가 늘고, 인구 고령화로 복지비용 등 의무지출이 증가하는 게 핵심 원인이다. 가만히 있어도 빚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인구 감소 효과가 더해지면 2025년 약 2458만원인 1인당 국가채무는 2050년에 8613만원으로 급증한다.
안종범 정책평가연구원장은 “조세 정책이 정치적 이해관계나 현재 상황 논리에 의해 즉흥적으로 바뀌어선 안 된다”며 “미래 세대의 부담을 줄이려면 장기적인 조세정책운용계획하에 수입과 지출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장원석∙김연주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