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 자녀 없는 부부 이혼비중 55.7%
2014년 전까진 양육 부부 비중 더 높아
이혼절차 변화에 저출산·황혼이혼 영향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서울가정법원 정문 앞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3일 통계청의 2024년 혼인·이혼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이혼건수(9만1200건) 중 미성년 자녀가 없는 부부의 이혼건수(5만800건)가 차지하는 비중은 55.7%로, 전년보다 3.2%포인트 늘어났다.
미성년 자녀가 없는 부부는 ‘비양육 부부’를 일컫는 말로, 여기에는 자녀가 아예 없거나 자녀가 성년이 된 부부가 포함된다.
반대로 지난해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건수는 42.8%로 12.9%포인트 낮았다. 2021년 40.5%로 바닥을 찍은 뒤 2022년 41.7%로 소폭 반등했고, 2023년 42.9%에 이어 2년 연속 42%대를 이었다.
물론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는 부부의 이혼 비중이 비양육 부부보다 항상 작았던 건 아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지난 2004년에는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 비중이 65.6%로, 미성년 자녀가 없는 부부(33.4%)의 두 배에 달했다.
이런 현상은 2013년까지 10년간 이어지다 2014년 뒤집히며 ‘골든 크로스’를 이뤘다. 2014년 미성년 자녀가 있는 양육 부부의 이혼 비중은 49.5%, 비양육 부부의 비중은 50.3%였다.
비양육 부부의 이혼 비중이 커진 건 협의 이혼 절차가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저출산 심화와 고령화에 따른 ‘황혼 이혼’ 증가세도 비양육 부부의 이혼이 늘어나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는 0.75명으로 집계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0명대는 한국이 유일하다. 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가 늘어나면서 비양육 이혼 비중이 커진 것이다.
아울러 결혼한 지 30년 이상인 부부의 황혼 이혼은 지난해 1만5100건으로, 2014년 이후 10년 새 46.6%(4800건) 늘었다. 전체 이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6.6%로 10년 새 7.7%포인트 확대됐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