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했다.[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현재의 4.25~4.50%로 동결했다. 미 연준은 2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하고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 이어 두차례 연속 동결 기조를 유지했다.
연준은 지난해 2024년 9월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 이후 11월과 12월에도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씩 인하했다. 세차례 연속 금리를 인하하면서 5.50%(상단 기준)였던 금리를 4.5%로 낮췄지만 올해 들어선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 동결 이유 = 연준이 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인플레이션이다. 연준은 FOMC 이후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최근 지표에 따르면 경제 활동은 견고한 속도로 계속 확장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은 다소 상승한 상태"라고 밝혔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꼽은 건 다름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관세를 언급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기 시작했다"며 "관세 정책에 반응한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조치 없이 빠르게 사라질 것으로 보이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면 이를 그냥 넘기는 게 적절할 수 있다"며 "관세 인플레이션의 경우도 그럴 수 있다"고 부연했다.
■ 금리인하 불투명한 전선 = 연준이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금리인하 횟수를 유지한 건 미국의 경기둔화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연준은 이날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7%로 0.4%포인트 낮췄다. 이를 근거로 연준은 성명서에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증대했다"는 문구를 새로 넣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역설적으로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은 더 예상하기 어려워졌다. 파월 의장이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힌 데다 관세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현상으로 그칠지 예단하기 힘들어서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저작권자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